전기차 쏟아진다… 하반기 주목할 신차는?
[결전 앞둔 전기차 시장, 최후 승자는③]
전 세계 공급 대란에도 올해 전기차 시장 성장세
현대차 아이오닉 6부터 BMW i7까지 신차 봇물

한국 시장 잡기 위한 수입차 신차 러시
여기에 한국 수입 전기차 시장을 꽉 잡고 있는 테슬라가 최근 주춤하고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테슬라의 올해 1~7월 국내 신규 등록 대수는 전년 동기(1만1651대) 대비 58% 감소한 6746대로 집계됐다. 지난달에는 신규 등록 대수가 단 한 대도 없었다. 성장하는 시장에 막강한 경쟁자인 테슬라가 주춤하자 그동안 소극적이던 수입차 브랜드들이 공격적인 신차 출시로 점유율 확보를 노리는 모양새다.
폭스바겐은 유럽 전기 SUV 시장을 이끌고 있는 콤팩트 SUV ID.4의 국내 출시를 준비 중이다. 그동안 디젤차 판매 비중이 높았던 폭스바겐은 국내 첫 전기차를 시작으로 파워트레인 다양화에 속도를 낸다. ID.4는 폭스바겐 전기차 전용 플랫폼 MEB 기반의 두 번째 순수 전기차다. 77kWh 용량의 배터리로 1회 충전 시 최대 522km(WLTP 기준)를 달릴 수 있다. 8년, 16만km 주행 후에도 최초 용량의 70%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형차임에도 2765mm에 달하는 휠베이스로 안락한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BMW는 럭셔리 세단인 7시리즈 기반의 전기 세단 i7을 국내 출시할 계획이다. 메르세데스-벤츠가 앞서 국내 출시한 럭셔리 세단 EQS와 동급으로 분류된다. 지난달 열린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처음으로 국내 공개됐다. 101.7kWh 용량의 배터리가 탑재된 i7은 1회 충전 시 최대 625km(WLTP 기준)를 달릴 수 있다. 3215mm에 달하는 휠베이스와 31.3인치 시어터 스크린, 바워스 & 윌킨스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이 조합돼 마치 영화관 같은 실내공간을 제공한다.

수입차 공세에 대응하는 국산차

현대자동차는 아이오닉 브랜드의 두 번째 모델인 중형 세단 아이오닉 6를 9월 국내 출시할 예정이다. 지난달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처음으로 실물이 공개됐다. 77.4kWh 배터리가 장착된 롱 레인지와 53.0kWh 배터리의 스탠다드 등 두 가지 모델로 구성된다. 1회 충전 시 최대 524km(18인치, 롱레인지 후륜구동 모델 기준)를 달릴 수 있다. 전기소비효율(전비)은 6.2km/kWh(18인치, 스탠다드 후륜구동 모델, 산업부 인증수치 기준)다. 현존하는 전용 전기차 중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오닉 6의 휠베이스는 2950mm 수준이다.
기아도 이르면 9월 중으로 첫 번째 전용 전기차 준중형 SUV EV6의 고성능 버전인 GT를 국내 출시한다. 77.4kWh 배터리가 탑재되는 EV6 GT는 1회 충전 시 424km(WLTP 기준)를 달릴 수 있다. 430kW 수준의 듀얼 모터를 통해 최고출력 584마력, 최대토크 75.5kgf·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2900mm의 휠베이스는 넉넉한 실내공간을 제공한다.
이지완 기자 anew@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민주, '당원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 선출
2광명 붕괴사고 하루 경과…실종자 수색작업 총력
3더불어민주당 “尹, 개선장군 행세하며 '퇴거쇼'…퇴근시간 퍼레이드 민폐”
4안철수, 오세훈 불출마에 “마음이 숙연…당 재건 위해 큰 역할 해주길”
5넥써쓰, 중국 이어 두바이까지…해외 진출 본격화
6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7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8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9‘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