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1억원 이상 사망보험' 사기…대부분 가족이 범인
금감원, 2012~2021년 보험사기 판결 고액 사건 분석
가해자 61%는 아내, 남편 등 가족
![](/data/ecn/image/2022/08/29/ecn507af794-bd08-4860-99fb-7fa080dbdda4.jpg)
금융감독원이 29일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보험사기로 판결이 확정된 1억원 이상의 사망보험금 관련 사건 31건을 분석한 결과, 고액 사망보험금을 노린 보험사기 가해자의 61%는 남편, 부인 등 가족관계였다.
금감원에 따르면 특정한 직업이 없는 50대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보험금을 편취할 목적으로 흉기, 약물, 사고사로 위장해 살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해자가 배우자(44.1%), 부모(11.8%) 등 가족인 경우가 61.8%를 차지했고 내연관계, 지인, 채권관계도 각각 8.8%로 나타났다.
직업은 무직이나 일용직(26.5%), 주부(23.5%), 자영업, 서비스업(각각 5.9%)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별 가해자는 60대 이상 35.5%, 50대 29.0%, 40대 19.4%, 30대 12.9%, 20대 3.2% 등으로 고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했다.
가해자 성비는 여성 51.5%, 남성 48.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보험사기의 피해자 64.5%는 50대 이상 평범한 계층의 남성으로 도로(226%), 자택(19.4%), 직장(12.9%) 등 일상생활 영역에서 살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피해자는 평균 3.4건의 보험계약(월 보험료 62만원)에 가입됐으며, 가입후 5개월 내 사망했고 사망보험금은 7억8000만원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최근, 코로나19 장기화 및 금리, 물가 인상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사망보험금을 노린 범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며 “보험금을 노린 가족간 범죄는 사회적 파급이 크고 보험산업의 신뢰도를 저해하므로 이에 대한 예방 및 유사사례 재발 방지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정훈 기자 jhoo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2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3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4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5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6‘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7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
8LG이노텍, 반도체 부품으로 연 매출 3조 목표...車 AP 모듈 ‘출사표’
9"이래서 강남 살아야"...역삼동에 로봇배달 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