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사자 수 최고치보다 54.5% 급감”

조선협의 용역 결과에 따르면 국내 건조 규모를 감안해 2027년까지 조선 해양 산업에 필요한 인력은 13만50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인 인력 규모는 2027년까지 연구·설계 인력은 1만4000명(2021년보다 4000명 증가), 생산 인력은 10만7000명(2021년보다 3만7000명 증가), 기타 인력(사무·별정 전문직 등)은 1만4000명(2021년보다 2000명 증가) 등이다.
조선협회는 “조선 산업은 풍부한 인적 자원, 앞선 설계·생산 기술과 발달된 전후방 연관 산업을 기반으로 세계 1위 위상을 이어오고 있으나, 최근 인력난 심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조선업 종사자 수는 2014년(20만3441명)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22년 7월 9만2394명으로 54.5%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같은 기간 조선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설계 연구 인력, 생산 인력은 각각 6645명, 9만8003명 감소해 조선업 기술 경쟁력 약화 우려가 나온다.
연구 용역 결과, 조선 산업 인력 수급을 위한 3대 전략으로 ▶미래 신시장 대응 맞춤형 인력양성 확대 ▶안정적인 인력 유입 환경 조성 ▶인력 수급 생태계 고도화 기반 마련 등이 제안됐다. 11개 추진 과제로는 ▶수도권‧지역 연계 및 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사업 등을 통한 인력 양성 채널 확대 ▶대중소형 기업 연계 상생 협력형 인력 양성 ▶조선 산업 브랜드 가치 제고 ▶고용 촉진형 보상 체계 구축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 근로 환경 강화 ▶외국인 인력 활용 확대 ▶인력 매칭형 통합 플랫폼 구축 등이 제시됐다.
조선협회는 정부와 협의해 시급한 생산 인력 확보를 위해 외국인 생산 인력 도입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고급 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양성허브사업’(가칭)을 기획 중이다. 최규종 조선협회 부회장은 “이번 도출 과제를 기반으로 조선 산업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효과성 높고 시급한 사업을 발굴해 업계의 애로사항 해결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