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배 폭등으로 신고식…‘앱토스’, 주류 코인으로 자리잡을까
APT, 저점 대비 40% 이상 상승
메타 ‘디엠’ 프로젝트 출신이 개발…기술력·인력 인정받아
토크노믹스와 초기배포물량 형평성 지적받기도

24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앱토스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3.28% 내린 9.37달러(약 1만3516원)에 거래됐다. 전날보다 다소 가격이 빠졌지만, 지난 19일 상장 직후 거래 가격인 저점(코인마켓캡 기준) 6.69달러와 비교하면 40.6%나 증가했다.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는 1달러에 상장돼 상장 직후 100달러까지 오르는 등 코인계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지난 24시간 앱토스의 거래량은 12억2311만 달러(약 1조7643억원)로 테더(USDT), 바이낸스USD(BUSD), USDC 등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어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앱토스는 메타(구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디엠(구 리브라)’ 출신 개발진들이 참여한 레이어1 프로젝트다. 메인넷 출시 전부터 FTX벤처스, 코인베이스 벤처스, a16z크립토, 해시드 등 다수의 벤처 캐피털(VC)에게 총 3억5000만 달러(약 5050억5000만원)의 투자 유치를 받는 등 큰 관심을 받아왔다.
이처럼 투자자와 업계가 앱토스에 큰 관심을 갖는 이유론 기술적 역량과 방대한 커뮤니티가 꼽힌다.
우선 앱토스는 ‘무브(Move)’라는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채택했다. 앱토스 백서에 따르면 무브는 안정성과 유연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또 경쟁 메인넷으로 불리는 솔라나와 같은 기반의 언어이므로, 솔라나 기반의 디앱(DApp·탈중앙화 앱)을 앱토스 생태계로 쉽게 유치시킬 수 있다.
디엠에서 개발됐던 합의 알고리즘인 ‘앱토스BFT’도 기존 알고리즘보다 속도와 보안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블록STM’이라는 기술도 속도를 끌어올렸다. 앱토스에 따르면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TPS)이 최대 16만까지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이더리움(최대 20~30TPS)은 물론 국제 결제망을 갖추고 있는 비자(최대 2만4000TPS, 평균 1700TPS)보다도 높다.

그런데 토크노믹스 부문에선 논란이 일었다. 앞서 앱토스의 토크노믹스는 업비트 디지털자산 보고서에서 처음 공개돼, ‘업비트가 실수로 유출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업비트는 이는 재단 측 확인과 동의를 받고 공개한 내용이라 해명했고, 이후 앱토스 측에서 내용을 추가 공지하며 유출 논란은 진정됐다.

이에 블록체인 엔지니어로 추정되는 트위터 이용자 ‘ParadigmEng420’은 “초기 공급량의 80% 이상이 개발팀과 투자자에 의해 좌지우지된다”고 지적했다. 물론 개발팀과 투자자 물량에 최장 10년이라는 락업 기간이 걸려있지만, 두 집단에 너무 과도한 물량이 묶여있다는 지적이다.
앱토스의 스테이킹 서비스를 과거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PaulFidika’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개발을 그만 둔 이유로 앱토스의 무책임한 토크노믹스와 중앙화된 노드(검증인) 등을 꼬집어 비판했다.
그럼에도 앱토스가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는 건 레이어1 블록체인의 보안과 확장성 문제를 해결해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이루겠다는 비전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앱토스를 다룬 업비트 디지털자산 보고서는 “이더리움의 등장 이후 새로운 인터넷 인프라로 블록체인의 사용성이 주목받아 왔다”며 “대중들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레이어1 체인으로서 앱토스는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으로 관심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멕스씨(MEXC)도 “앱토스는 제2의 솔라나가 될 수 있다”며 “유명한 투자를 잘 활용해 혁신을 유지하면 웹3의 본고장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그재그, 브랜드 편집숍 ‘셀렉티드’ 정식 론칭...거래액 최대 2782%↑
2카카오뱅크-전북은행 ‘공동대출’…금융위 혁신금융 신규 지정
3트럼프 관세, 셈법 들여다보니…"美 무역적자 0으로"
4전한길 '폭싹 속았수다' 특별출연에도 '통편집'…왜?
5"뉴진스, 민희진 없이 홍콩 가놓고…" 첫 변론기일, 상황은
6김대희 미모의 딸 명문대 갔다…이지적 분위기 '놀라워'
7한은 “美 상호관세 예상보다 강해…금융 변동성 확대 가능성”
8케이뱅크, CSS 고도화…"대출비교플랫폼 특성 반영"
9삼쩜삼, ‘세무 대리인 수임 동의’ 문제 해소...민원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