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주요국 공급망 ESG 관리 실사 의무화, 대비책 마련 시급”

전경련 ‘주요국 공급망 ESG 관리’ 보고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빌딩 모습.[연합뉴스]
전 세계 주요국의 공급망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사 의무 시행을 앞두고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주요국 공급망 ESG 관리 정책 동향 및 모범사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는 2026년 공급망 관리 시장 규모를 약 30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2020년의 약 2배(156억 달러) 수준이다. 2025년 공급망 관리 주요 이슈에서는 지속가능성과 ESG가 포함되면서 공급망 ESG 실사는 향후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내년 시행 예정인 독일 공급망 실사법은 인권 보호, 환경 영향에 중점을 둔 공급망 실사가 핵심이다. 실사 의무에 간접 공급업체까지 포함되며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내용 위반 시 800만 유로(약 111억4000만원) 또는 전 세계 연매출의 최대 2%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유럽연합(EU)도 지난 2월 지속가능한 공급망 실사 지침 초안을 발표했다. 향후 입법 완료 시 역내·외 대·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내 잠재적 ESG 리스크에 대한 실사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대상 기업은 역내 기업만 1만2800개, 역외까지 총 1만6800개에 달한다. 공급망 전반에 걸쳐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분쟁 광물 조달, 공급망 상에서의 환경적 영향이 주요 실사 이슈다. 패션 기업 자라(ZARA)의 모기업 인디텍스와 나이키는 강제노동, 아동노동 등 노동·인권 실사를 중점적으로 진행한다.
 
보고서는 “업종별로 상이한 실사 이슈를 파악해 기업이 스스로 업종에 맞는 실사에 대비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준호 전경련 ESG팀장은 “최근 미국과 EU가 반도체 공급망 모니터링을 위한 조기경보 메커니즘 공동 개발 계획이 참고할만한 사례가 될 것”이라며 “주요국과의 ESG 실사 공동 대응 체계 마련이 효율적인 공급망 실사 대비책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

실시간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