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카카오·네이버 ‘먹통 복구’ 시간 차이, 원인은 ‘이중화 조치’ 여부
- 10월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네이버·카카오 서비스 장애
네이버 12시간 만에 복구, 카카오는 127시간 33분 소요
정부 “카카오 국민 피해 구제 원칙과 기준 마련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지난 6일 소방청과 함께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및 카카오·네이버 등 부가통신서비스 장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또 ▶SK C&C ▶카카오 ▶네이버에 각각 시정 조치를 요구했다. 정부는 특히 “카카오는 서비스 장애와 관련된 국민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원칙과 기준을 설정하고, 보상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 10월 15일 오후 3시19분께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지하 3층 배터리실에서 발생한 화재가 원인이 됐다. 화재는 오후 11시 45분에 완전 진화됐지만, 건물 전력 차단 등 사유로 카카오·네이버 등 입주기업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
카카오·네이버 서비스 먹통 이유는?
또 애플리케이션(앱)·서비스 플랫폼 레이어에서도 이미지·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등 서비스 구성 요소가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돼 있지 않아 서비스 장애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카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초기 단계인 ‘카카오인증’과 같은 핵심 기능은 판교 데이터센터에 집중돼 있어 피해가 광범위하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과기정통부 측은 “카카오는 장애 탐지·전파·복구 전반에 걸쳐 기본 절차를 정의하고 있으나, 단계별 체계화 및 자동화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카카오 대비 서비스 정상화 시점이 빨랐던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 조치를 시행했다. 다만 다른 데이터센터로의 서비스 전환 과정에서 일부 기능에 오류가 발생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대부분 기능 오류의 경우 다른 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복구 우선순위와 복구하는 데이터의 무결성 확인 등의 이유로 복구에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1개월 내 시정조치 보고하라”
정부는 이 같은 시정사항에 반영해야 할 점들도 전달했다. 카카오엔 ▶‘운영 및 관리도구’를 데이터센터 간 동작(Active)-동작(Active) 등 매우 높은 수준의 다중화 적용 ▶핵심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중요도 등을 고려해 분산·다중화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 수립 ▶재난 대비 훈련 진행 등을 마련하도록 요청했다.
특히 정부는 카카오가 ‘이용자 고지 및 피해 구제’에 나서야 한다고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카카오는 서비스 장애 발생 시 다양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이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는 체계 구축해야 한다”며 “이번 장애와 관련된 국민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원칙과 기준을 설정하고 보상 계획도 수립해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네이버를 대상으론 ‘보다 철저한 장애 예방’과 ‘신속 복구를 위해 서비스별 복구 목표’를 설정하라고 요청했다. 네이버는 이에 따라 장애 각본별 복구 방안 등을 재점검해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주 데이터센터 전소 등 상황을 가정하고 모의 훈련을 실시해 과기정통부에 보고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데이터센터와 디지털 서비스의 장애가 국민 일상의 불편을 넘어 경제·사회 전반을 마비시키는 등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며 “이번 사고에 원인을 제공한 사업자들은 이를 엄중히 인식하고 피해 복구 및 재발 예방에 최선의 노력을 다함으로써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국민 신뢰를 다시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1개월 후 3사가 제출한 ▶조치 결과 ▶향후 조치계획 ▶단계별 재난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전문가·사업자 의견 ▶법·제도 개선사항 등을 반영, 디지털 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 개선방안을 2023년 1분기 내 수립할 방침이다.
정두용 기자 jdy2230@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싱크홀 사고, 법적 책임 주체는 누구[똑똑한 부동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23년 만 변화, 울컥”…최은경, ‘동치미’ 하차→새 소속사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