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에 밀리고 밴드에 치이고…페이스북 시대 저무나
페북 국내 이용자 수 1005만명 그쳐
인스타그램·네이버 밴드에 밀려 3위
숏폼콘텐츠·메타버스 인기에 이탈 늘어

18일 빅데이터 솔루션업체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페이스북의 지난달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 합산 국내 활성 이용자(MAU)는 1005만6845명을 기록했다. 모바일인덱스가 관련 통계를 시작한 지난 2020년 5월 MAU(1487만910명)과 비교하면 2년 9개월만에 이용자 수가 490만명 가까이 감소한 것이다.
페이스북은 1위 인스타그램(1860만6303명)은 물론 2위 네이버 밴드(1782만9613명)에 밀려 이용자 수 3위를 기록했다. 인스타그램 월 이용자는 2020년 5월 1737만명에서 증가세를 유지하며 1800만~1900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네이버 밴드 역시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유입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페이스북의 이용자 수 감소는 주된 이용층이었던 10대의 이탈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2019년 페이스북 이용 경험이 있는 초·중·고등학생은 80.3%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46.1%로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10대 이용자는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등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실제 트위터의 경우 페이스북보다 이용자 수 자체는 적지만, 증가세는 이어지고 있다. 트위터 월 이용자는 2020년 5월 332만명에서 지난달 461만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플랫폼 등 대안 SNS의 인기에 설 자리를 잃었다는 분석도 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본디(Bondee)’는 최대 50명까지 친구를 맺을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SNS로, 최근 10·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인기가 급증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본디 사용자는 지난 1일 9700여명에서 12일 105만명으로 껑충 뛰었다.
업계 관계자는 “유튜브 숏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숏폼 콘텐츠가 유행하면서 긴 흐름의 글을 게시하는 페이스북의 인기가 사그러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불특정 다수가 아닌 지인 위주의 페이스북에 광고·홍보 게시글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신규 유입을 막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