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지난해 신종마약 108억원 적발…마약사범 2030세대가 절반
- 2021년 대비 3배 수준으로 급증
합성 대마 및 MDMA 등 신종마약류 적발 증가
“클럽용 마약 사용은 우리 사회에 더 큰 악영향”

4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적발한 신종마약의 금액은 108억원으로 2021년 적발액 38억원보다 184.2% 급증했다. 적발 중량은 267㎏으로 87% 늘었다.
신종마약은 필로폰을 제외한 향정신성의약품과 임시마약류를 말한다. MDMA, 러쉬, 졸피뎀, 프로포폴 등이 이에 해당한다. MDMA는 소위 ‘클럽용 마약’, 케타민은 성범죄용 등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신종마약 적발 규모는 크게 늘어난 반면 필로폰·코카인 등을 포함한 전체 마약 적발 규모는 오히려 감소했다. 지난해 마약 적발량은 총 624㎏, 적발금액은 6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51%, 87% 감소했다. 당국의 적발 등을 피하고자 신종마약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마약 적발 종류로 보면 신종마약 중 합성 대마가 91㎏, 60억원 규모로 적발돼 가장 많은 규모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적발 중량은 499%, 금액은 624% 각각 증가했다. MDMA는 25㎏·19억원, 케타민은 22㎏·17억원으로 적발 규모가 각각 중량 기준으로 211%, 277% 늘었다.
양 의원은 “이들 약물은 극미량의 복용으로 환각·도취감·기억상실 등의 효과가 있어 범죄 사용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들어 2030세대의 마약 중독도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2021년 전체 마약 사범 가운데 20∼30대 비중은 56.8%로 절반을 넘겼다. 이들 세대가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 마약 입수를 보다 손쉽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 의원은 “대마·필로폰 등의 마약 외에도 젊은 층에 파급력이 큰 클럽용 마약의 사용은 우리 사회에 더 큰 악영향”이라면서 “검찰·경찰·관세청 등 마약 단속 기관의 신종 마약에 대한 철저한 단속대책과 연예인·유명인에 대한 처벌 강화를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승준 "잃어버리고 나서 소중했다는 것 깨달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BTS 지민, 송다은과 열애설 입 열었다 "현재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發 반도체 압박…中 장비 반입 제한에 삼성·SK '비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서울회생법원, 양재 ‘캠코양재타워’ 임차 이전 추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디오, 초저가 ‘중국산’ 임플란트로 중국시장 반전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