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3사, 중저신용대출 2년여 간 '6.2조원' 공급
인뱅 3사 중저신용자대출 잔액 지난해 말 8.6조원
3사의 중저신용자대출 비중 30.4%로 높아져
시중은행서는 중저신용자 대출 급감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케이뱅크, 카카오뱅크(323410),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 잔액은 2020년 6월 2조3900억원에서 지난해 말 8조5800억원으로 259% 급증했다.
이에 인터넷은행 3사의 가계대출에서 중저신용자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7.4%에서 30.4%로 높아졌다.
중저신용대출은 개인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에 대한 대출을 말한다.
금융당국은 2021년부터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자대출을 확대하겠다는 출범 취지에 맞게 영업하도록 관련 대출의 비중 목표치를 공시하도록 했다.
올해 연말까지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는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다. 지난해의 25%, 25%, 42%보다 상향 조정됐다.
업계에서는 시중은행들이 중저신용자대출을 축소하면서 인터넷은행으로 관련 대출의 쏠림 현상이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2020년 6월 25.2%에서 지난해 말에는 16.9%까지 떨어졌다. 대출 잔액은 이 기간 24조8600억원에서 16조5500억원으로 감소했다.
4대 은행의 연간 중저신용대출 취급액도 2020년 8조3666억원에서 지난해 2조8089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