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인터넷은행 3사, 중저신용대출 2년여 간 '6.2조원' 공급

인뱅 3사 중저신용자대출 잔액 지난해 말 8.6조원
3사의 중저신용자대출 비중 30.4%로 높아져
시중은행서는 중저신용자 대출 급감

(위에서부터)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로고. [사진 각 사]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인터넷은행들의 중저신용자대출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반면 시중은행의 관련 대출은 계속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저신용자들이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안 되자 인터넷은행으로 몰렸다는 분석이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케이뱅크, 카카오뱅크(323410),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 잔액은 2020년 6월 2조3900억원에서 지난해 말 8조5800억원으로 259% 급증했다. 

이에 인터넷은행 3사의 가계대출에서 중저신용자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7.4%에서 30.4%로 높아졌다. 

중저신용대출은 개인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에 대한 대출을 말한다. 

금융당국은 2021년부터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자대출을 확대하겠다는 출범 취지에 맞게 영업하도록 관련 대출의 비중 목표치를 공시하도록 했다. 

올해 연말까지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는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다. 지난해의 25%, 25%, 42%보다 상향 조정됐다.

업계에서는 시중은행들이 중저신용자대출을 축소하면서 인터넷은행으로 관련 대출의 쏠림 현상이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2020년 6월 25.2%에서 지난해 말에는 16.9%까지 떨어졌다. 대출 잔액은 이 기간 24조8600억원에서 16조5500억원으로 감소했다. 

4대 은행의 연간 중저신용대출 취급액도 2020년 8조3666억원에서 지난해 2조8089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2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3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4“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5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6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7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8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9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실시간 뉴스

1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2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3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4“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5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