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연말 부실대출 3조원으로 급증”…가계부채 리스크 현실화 되나

한국금융연구원 '국내은행 가계대출 리스크 예측' 보고서 내놔
부실채권 2022년말 1.7조원→2023년말 3조원 예상
“은행권, NPL비율 변화 예의주시해야”

서울시내 은행 현금인출기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은행에서는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이 올해 말 3조원까지 급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8일 ‘국내은행 가계대출 리스크 예측’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예상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가계대출 중 고정이하여신비율(NPL비율)과 거시변수들의 계량모델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해 올해 NPL비율을 예측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100%를 상회하고 있어 미국 등 주요국들이 80% 이하인 점을 감안하면 과도한 수준”이라며 “가계대출 차주의 상환능력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부채 원리금상환비율(DSR)은 14%에 육박하지만 주요국들이 5~8%”라고 설명했다. 

NPL비율 추이 [제공 한국금융연구원]
특히 국내은행 가계대출에 한정해 가계여신 중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4분기 0.18%에서 올해 말 0.33%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를 금액으로 보면 국내은행 고정이하 가계여신이 2022년말 1조7000억원에서 2023년말 3조원 수준으로 급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2022년말 국내은행 자기자본이 279조원이고, 2022년 당기순이익이 18조원을 상회하는 점을 고려하면 은행산업 전체의 손실흡수능력(risk bearing capacity)은 충분할 것으로 진단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갑자기 급등으로 전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어느 정도 기간과 수준까지 진행될 것인지가 문제”라며 “은행권은 거시변수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고정이하여신비율 변화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증권업계 대부’ 강성진 전 한국증권업협회장 11일 별세...향년 98세

2블랙박스 ‘메이데이’ 선언 무렵부터 끊겼다…“전원 셧다운 가능성”

3신작으로 반등 노리는 위메이드

4지난해 국내 증시 불안 속 대형 증권사는 웃었다

5뉴욕 밀치기 범죄 공포…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최고’

6'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7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8"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9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

실시간 뉴스

1‘증권업계 대부’ 강성진 전 한국증권업협회장 11일 별세...향년 98세

2블랙박스 ‘메이데이’ 선언 무렵부터 끊겼다…“전원 셧다운 가능성”

3신작으로 반등 노리는 위메이드

4지난해 국내 증시 불안 속 대형 증권사는 웃었다

5뉴욕 밀치기 범죄 공포…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