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횡령·배임에 상폐 위기인 이화전기…메리츠증권은 모두 팔았다

이화전기 거래정지 전 32.22% 전량 매도
이아이디 지분 32%는 아직 남아
이화그룹株 상장 폐지 위기 놓여
“BW 행사 10영업일 걸려 횡령 등과 무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이화그룹 김영준 회장(왼쪽)과 김성규 총괄사장이 5월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홍다원 기자] 횡령·배임 혐의로 김영준 이화그룹 회장이 구속되면서 계열사인 이화전기, 이아이디, 이트론이 상장폐지될 위기에 처했다. 미리 신주인수권부사채(BW)로 이화전기에 투자했던 메리츠증권은 지분을 모두 팔아치워 수익을 낸 상태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 5월 31일 이아이디와 이화전기‧이트론에 대해 상장 적격성 실질 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이들은 2차전지 사업 진출 기대감 등으로 급등한 바 있다. 이화전기는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횡령·배임 발생 금액은 이화전기 42억4900만원, 이트론 311억3700만원, 이아이디 416억4800만원이다. 이들은 지난 5월 12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다. 

김 회장과 김성규 총괄 사장은 지난 2012년부터 약 10년간 세금 납부를 피하려 373억원을 은닉한 혐의를 받는다. 또 계열사에 가족을 허위 고문으로 올려 114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하고 허위 공시로 주가를 띄운 후 매도해 74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다만 한국거래소가 24시간 만에 거래정지 결정을 번복하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는 커질 전망이다. 거래소는 지난 10일 이화그룹주 거래 정지를 결정했다가 하루 만에 풀렸다. 

정지됐던 종목들은 거래가 재개되자 급등했다. 거래재개로 악재가 해소됐다고 판단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렸다. 실제 지난 12일 이트론은 상한가를 찍었고, 이아이디와 이화전기도 각각 20.52%, 16.75% 급등했다. 개인 투자자들은 거래 정지 전날인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이화전기를 118억원, 이아이디를 110억원 순매수했다. 

한편 메리츠증권은 일찍이 투자했던 이화전기 지분을 전량 매도해 차익을 실현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2021년 10월 이화전기 신주인수권부사채(BW)에 400억원을 투자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지난 10일 보유하고 있던 이화전기 주식 5848만2142주(32.22%)를 전부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메리츠증권은 신주인수권을 주식으로 바꿔 장내 매도하거나 콜옵션(조기상환권) 등으로 이화전기를 꾸준히 처분했다. 

메리츠증권은 이화전기 BW 투자로 약 90억원 이상의 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보유한 400억원 중 240억원은 콜옵션 행사로 연 4.5%의 이자율로 15억원을 챙겼다. 

나머지 160억원은 지난 4월 20일 신주인수권 행사 후 장내 매도했다. 신주인수권 전환 당시 604원이었던 이화전기를 지난달 4일(1082원), 8일(893원), 9일(830원) 등 가격에 장내 매도하면서 수익을 낸 것이다. 

다만 일각에선 지난 5월 10일은 이화전기 주식 거래가 정지된 날인 만큼 메리츠증권이 전날 지분을 모두 처분한 것이 기막힌 타이밍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메리츠증권은 이화전기뿐만 아니라 이아이디도 이미 팔았다. 공시에 따르면 지난 4월 4일부터 5월 3일까지 294억원을 콜옵션 행사하고 226억원을 장내매도했다. 메리츠증권은 신주인수권 권리행사(4월 4일) 이후 장내매도를 통해 약 160억원의 수익을 냈다. 941원이던 주식을 2449원에 팔았다. 또 메리츠증권은 지난 4월 18일 이후 921~941원에 취득한 이아이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다섯 번에 걸쳐 1230원에 팔아 약 73억원의 차익을 챙겼다.

이화전기 지분은 전량 매도했지만 이아이디 지분은 아직 남아있는 상태다. 메리츠증권의 이아이디 보유 지분은 이번 매도로 기존 58.67%에서 32.59%로 줄어들었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신주인수권부사채 행사로 주식을 바로 매도할 수 있는 게 아니다”면서 “청구 후 주식을 받기까지 10 영업일이 걸리기 때문에 거래 정지 등 시기와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교통 대란 일어나나”…철도·지하철 등 노조 내달 5~6일 줄파업

2‘조국 딸’ 조민, 뷰티 CEO 됐다…‘스킨케어’ 브랜드 출시

3 러 “한국식 전쟁동결 시나리오 강력 거부”

4경주월드, 2025 APEC 앞두고 식품안심존 운영

5구미시, 광역환승 요금제 시행..."광역철도 환승 50% 할인"

6포항 한우, 대한민국 대표 한우로 우뚝 서다

7獨 브로제 코리아, 대구테크노폴리스에 둥지 틀다.

8경북 청송군, 항일 의병의 넋 기리는 ‘푸른 솔’ 공연

9주택보유자 2.9% 종부세 낸다…작년보다 5만명 늘었다

실시간 뉴스

1“교통 대란 일어나나”…철도·지하철 등 노조 내달 5~6일 줄파업

2‘조국 딸’ 조민, 뷰티 CEO 됐다…‘스킨케어’ 브랜드 출시

3 러 “한국식 전쟁동결 시나리오 강력 거부”

4경주월드, 2025 APEC 앞두고 식품안심존 운영

5구미시, 광역환승 요금제 시행..."광역철도 환승 5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