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보험가입 땐 '보험나이' 적용...車보험은 '만 나이' 쓰는 이유
- 지난달 28일 행정법 변경...보험나이 혼동할수도
車보험 가입은 '면허증 만 나이' 적용 주의

이때 '만 나이' 통일에도 보험에서는 기존 '보험나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자동차보험에서는 '보험나이'가 아닌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8일 삼성화재는 보험나이와 만 나이 활용에 있어 주의점을 소개했다.
나이 세는 방법에 관한 규정이 없다면 모두 만 나이를 사용하지만, ▲초등학교 입학 ▲담배 및 주류 구매 ▲병역 의무 ▲공무원시험응시는 이전과 같은 연 나이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보험 가입시는 '연 나이', '만 나이'와는 다른 생소할 수 있는 '보험나이'를 사용한다.
'보험나이'란 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 중 '별표 15-표준약관' 제 21조에서 정한 개념으로, 계약일 현재 피보험자의 실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의 끝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의 끝수는 1년 올려 계산하는 나이 셈 방법이다. 이후 매년 계약 해당일에 나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중요한 점은 만 나이 통일법 시행과 상관 없이 보험을 가입할 때는 기존의 보험나이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보험나이가 만들어진 이유는 보험 계약은 1년 중 언제나 가능하기 때문에 계약일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일단위로 계산하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보험은 나이에 따라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만 나이를 기준으로 삼으면 보험사나 계약자 중 손해보는 쪽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보험나이'가 생겼고 이러한 보험나이의 적용은 국내보험사뿐 아니라 해외보험사도 마찬가지로 적용 중이다.
하지만 자동차보험만큼은 '보험나이'가 아닌 '만나이' 를 사용한다. 만 30세 이상, 만 45세 이상 등 자동차보험을 가입할 수 있는 운전자의 연령을 정하는 특별 약관의 기준 연령은 운전면허증에 적혀있는 만 나이를 사용한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자동차보험을 가입할 때는 피보험자나 운전자의 만 나이를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후보 지지율…이재명 지지율 49%, 김문수 27%(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소년장사' 최정, 600홈런 향한 걸음을 떼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월급쟁이 감세론' 제동 건 기재부, 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트럼프 약가 인하 불똥이 알테오젠까지?…CMS 새 지침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