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또 등장...4개국서 감염
기존보다 돌연변이 수 30여개 더 많은 바이러스
전문가들, 확진자 늘지 예의주시

세계보건기구(WHO)가 18일(현지시간) 감시 대상에 추가한 BA.2.86은 오미크론 변이종인 BA.2의 하위 변이로 분류된다. 피롤라(Pirola)란 별명이 붙은 BA.2.86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 수가 BA.2보다 30여개나 많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무기를 말한다. 이 돌연변이수가 기존보다 30여개나 많다는 얘기는 인간의 면역체계를 뚫을 가능성이 기존 바이러스보다 더 높다는 뜻이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이번 주 초부터 여러 대륙에서 동시다발적으로 BA.2.86이 포착됐다는 점에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의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연구원은 엑스(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BA.2.86은) 유행할 수 있는 것들이 지니는 전형적 특징 모두를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유전학 연구소장인 프랑수아 발루 교수도 BA.2.86을 "2021년 말 오미크론 등장 이후 나온 변이 중 가장 눈에 띈다"고 평가했다.
현재까지 BA.2.86 감염이 보고된 국가는 총 4개국이다. 13일 이스라엘에서 첫 환자가 확인된 데 이어 덴마크에서 3건, 미국 2건, 영국 1건의 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감염병 전문가 피터 친 홍 박사는 그간 여러 변이종에 노출되면서 집단면역이 생겨난 까닭에 BA.2.86 감염 사례가 급증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WHO도 "새 변이가 잠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려지지 않았고 신중한 평가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는 3년 전 처음 등장한 뒤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를 내놓고 있다. WHO는 현재 BA. 2.86을 포함 10여종의 변이를 감시 대상으로 지정해 추적 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