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한국인 삶의 만족 높아졌지만, OECD 중 자살률 '최상위'
- 2022년 자살자 인구 10만명당 25.2명
삶의 만족도 6.5점, OECD 회원국 38개국 중 35위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전체 자살자수는 1만2906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25.2명이다. 전년과 비교하면 인구 10만 명당 0.8명이 감소했다.
자살률은 2000년 인구 10만 명당 13.7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여 2005년에는 24.8명으로 5년간 인구 10만 명당 10명 이상 증가했다. 2011년에는 31.7명으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7년 이후 다시 소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자살률이 월등히 높아 비교대상 국가들 가운데 최상위 수준이다. 2020년 기준으로 OECD 국가 중 한국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24.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리투아니아가 18.5명으로 높다. 일본의 자살률은 15.4명으로 높은 편이나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크다.

우리나라 삶의 만족도는 2020∼2022년에 5.95점을 기록했다. OECD 회원국 38개국 중에 35위다. 우리나라보다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6점), 콜롬비아(5.6점), 그리스(5.9점) 등이다. OECD 평균은 6.69점으로 우리보다 0.74점 높았다.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2022년 69.6%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9%p 상승했다. 1인당 국내 여행 일수는 2019년 10.01일에서 2020년 5.81일까지 감소했고 2022년 8.29일로 증가했다.
66세 이상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2021년 39.3%를 기록했다. OECD 회원 37개국 중 에스토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은 2022년 14.9%로 전년(14.8%)보다 소폭 높아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연회비 또 올린다" 코스트코 배짱 장사…한국이 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승기, '주가 조작 혐의' 처가 손절..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산업용 금속' 도구, '식품용'인 척 쓴 백종원…경찰, 수사 착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외서는 투자 늘리는데…갈길 먼 국내 헤지펀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할로자임, MSD에 특허심판 이어 특허소송...알테오젠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