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빌리고도 못 갚아...햇살론 대위변제율 20% 돌파
햇살론15 대위변제율 21.3% 집계
고금리·고물가로 빚 부담 커진 탓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개혁신당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서민금융진흥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저신용자를 지원하는 '햇살론15'의 지난해 대위변제율은 전년 대비 5.8%포인트 오른 21.3%로 집계됐다.
대위변제율은 대출받은 사람이 원금을 상환하지 못했을 때 서민금융진흥원 등 정책기관이 은행에 대신 갚아준 금액의 비율이다. 햇살론15 대위변제율은 2020년 5.5%에서 2021년 14.0% 등으로 올랐다. 20%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다른 햇살론 상품의 대위변제율도 대다수가 올랐다. 만 34세 이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햇살론 유스의 지난해 대위변제율은 9.4%로, 전년 대비 2배가량 솟았다. 저신용 근로소득자를 위한 근로자 햇살론도 같은 기간 10.4%에서 12.1%로 올랐다.
저소득·저신용자 중 상환 능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해 1금융권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햇살론뱅크 대위변제율은 2022년 1.1%에 불과했지만, 1년 만에 7.3%포인트 오른 8.4%를 기록했다. 서민 생계가 어려워지자, 상환 능력이 건재하던 경우에도 상황이 급격히 나빠진 것이다.
정부의 핵심 정책금융상품인 소액생계비대출과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품의 연체율도 심상치 않다. 소액생계비대출의 연체율은 11.7%, 특례보증의 대위변제율은 14.5%로 집계됐다.
소액생계비대출은 당장 돈이 필요한 취약계층에 최대 100만원을 연 15.9% 금리에 빌려주는 것이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신용평점 하위 10%인 최저신용자들에게 대출을 내주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2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3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4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5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6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7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8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9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