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예상 부합해 가는 물가에도…한은, 신중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부채도사]

금리 올릴 땐 ‘물가 안정’ 목표에 집중
내릴 땐 ‘한미 금리차·환율·가계부채’ 복합적으로 따져야
우리금융硏 “한은, 3분기 기준금리 인하 힘들어”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김 제품을 살펴보는 시민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대출은 동지도 적도 아니다.” 한 은행원의 말입니다. 가계신용잔액은 1882조원을 넘었고, 가계들의 상환 능력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적과의 동침이 불가피할 때입니다. 기사로 풀어내지 못한 부채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를 ‘부채도사’에서 전합니다. [편집자주]

물가가 안정되고 있지만 한국은행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한은이 물가 관리에서 일차방정식 수준의 과제를 해결해야 했다면, 앞으로는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물가가 내리고 있어도 타이밍을 잘못 잡아 피벗(pivot·통화정책 기조 전환)을 단행하면 예상치 못한 혼란을 가중할 수 있어서다. 

스웨덴 등 기준금리 인하했지만 韓과 상황 달라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다. 이미 선진 국가로 분류되는 스웨덴과 스위스 등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유럽의 다른 국가 중앙은행도 연준보다 먼저 피벗을 단행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하지만 스웨덴의 경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여파 등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2023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6%를 기록했고, 스웨덴 국립경제연구소가 발표한 2024년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도 스웨덴 GDP 성장률은 0.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스위스의 올해 경장 성장률도 1.1%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정부나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기준금리를 인하해서라도 경기를 부양할 필요성이 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한은의 사정은 조금 다르다. 국내에선 수출과 건설투자 회복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1분기 국내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1.3%를 기록해 9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 조정했다. 그만큼 국내 상황은 유럽의 침체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물가 상승률, 두 달 연속 2%대 유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 연합뉴스]
국내 물가는 눈에 띄게 안정을 찾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0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상승했다. 최근 물가 상승률을 보면 3월 3.1%를 기록하며 다시 3%대로 높아진 뒤 4월에 2.9%로 낮아졌고,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유지했다. 

특히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2% 올랐다. 이번 물가 상승률에 대해 한은은 “국내외 경기 흐름과 기상 여건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다”면서도 “물가 상승률은 앞으로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 안정’이 최우선 목표인 한은 입장에서 물가가 2%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 인하의 여지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금리 인하 결정을 하기 어려운 여건이라고 봐야 하는 상황이다. 

한미 금리차가 2%포인트(p) 차이가 나는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환율 변동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또 올해 1분기에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8.9%로 낮아지며 3년 6개월 만에 100%를 하회하고 있는데, 금리를 내리면 부채 확대에 기름을 부을 수 있다. 목표 물가 상승률을 달성하기도 전에 물가가 다시 높아지는 부작용도 예상할 수 있다. 

한은이 보고 있는 우리나라의 명목 중립금리는 1.8~3.3% 수준이다.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고 잠재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중립금리 고점인 3.3%를 기준으로 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만 내려도 중립금리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럴 경우 통화정책의 본격적인 전환 인식을 시장에 심어줄 수 있다. 그만큼 한은이 금리 인하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도 이런 이유로 지난 5일 한은의 3분기 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이라면서 “금리 인하 시점을 올해 4분기까지 늦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전망의 근거로는 ▲미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 약화 ▲예상보다 잘 나온 국내 GDP 성장률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을 들었다. 

현재 노무라, 모건스탠리, JP모건 등은 올해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을 4분기로 예상했고, 연말의 금리 수준도 현재보다 0.25%p 내린 3.25%로 보고 있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을 시장에서 3분기로 보고 있는데, 한은이 그 전에 먼저 내릴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5월 23일 기준금리 동결 발표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더라도 그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은 지난 4월에 비해 훨씬 커졌다”고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의협 회장 면담…“정부는 한가하고 국민들만 심각”

2가을하늘 아래 청년들 모여…‘청년의 날 축제’ 북적

3경인아라뱃길에 또 시신 둥둥…10대 男 숨진 채 발견

4“유부남이 저를 만지고”…BJ파이, 성추행 피해 충격 폭로

5“제출불가, 비밀약정” 국회 자료요청에 축구협회 불성실 태도

6우리금융, 저출생 극복 동참…임직원에 연간 100억 파격 지원

7역대급 폭우에…김해 세계유산 가야고분 일부 ‘와르르’

8메이플 아이템 조작 넥슨, 80만 피해자에 219억원 보상

9굶주린 북극곰, 아이슬란드 민가 쓰레기 뒤지다 결국

실시간 뉴스

1 이재명, 의협 회장 면담…“정부는 한가하고 국민들만 심각”

2가을하늘 아래 청년들 모여…‘청년의 날 축제’ 북적

3경인아라뱃길에 또 시신 둥둥…10대 男 숨진 채 발견

4“유부남이 저를 만지고”…BJ파이, 성추행 피해 충격 폭로

5“제출불가, 비밀약정” 국회 자료요청에 축구협회 불성실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