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이건 기업 죽이기”...백종원 ‘연돈볼카츠’ 사태 직접 해명
- 개인 유튜브 채널 통해 억울함 호소
억측 등으로 가맹점주 피해 많이 받아

23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백 대표는 전날(22일) 개인 유튜브 채널에 ‘연돈볼카츠 설명드리겠습니다’라는 14분 정도 분량의 영상을 게재했다. 해당 영상은 13시간 만에 조회수 303만회를 돌파했다.
백 대표는 “지난 6월 연돈볼카츠 점주 여덟 분이 단체 행동에 나서면서 시작됐다”면서 “이후 잘못된 사실이 기사로 확대 및 재생산돼 더본코리아가 지탄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더본코리아 브랜드 연돈볼카츠 일부 가맹점주는 본사가 허위·과장된 매출 약속으로 피해를 봤으며, 경영 악화에도 본사 차원의 후속 대책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더본코리아를 가맹사업법 등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한 상태다.
백 대표는 영상에서 “지인들이 오보를 믿고 있는 상황”이라며 “얼마나 억울한지, 얼마나 분통이 터지겠는지 봐달라”고 말했다.
백 대표가 해명하겠다고 밝힌 부분은 ▲더본코리아 브랜드 평균 존속일 3.1년 ▲매장 매출 감소에도 2010년 대비 9배 늘어난 지난해 본사 실적 등이다.
백 대표는 더본코리아 브랜드 평균 존속일이 3.1년에 불과하다는 보도에 대해 “존속 기간과 영업 기간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르다”면서 “특정 기사는 두 가지 용어를 잘못 섞어서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존손 기간은 매장을 오픈한 날부터 폐업한 날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영업 기간은 매장을 오픈한 날로부터 정보공개서(영업 기간) 신고 기준 시점까지의 기간을 뜻한다. 백 대표는 “공정거래위원회 자료 공시에는 영업 기간만 나온다. 이건 오류가 아니라 정말 잘못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본사 매출은 2010년 대비 9배 늘었는데, 브랜드 가맹점 매출은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백 대표는 “이게 사실이면 진짜 나쁜 회사”라며 “2010년에는 소형 브랜드가 없고 매장 크기도 50~150평 규모로 컸다. 매장당 매출이 높을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테이크아웃 전문점도 있고 10~30평 소규모 매장이 많다. 평당 매출로만 보면 2010년 1782만원에서 지난해 2350만원으로 오히려 늘었다”고 했다.
백 대표는 또 “가맹점 수는 2010년 247개에서 지난해 2785개로 11배 증가했는데, 매출은 9배 늘어난 것”이라며 “더본코리아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기준 6.2%로 다른 프랜차이즈에 비해 높지 않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백 대표는 “점주님들에게 죄송하다. 본의 아니게 점주님들께 피해가 많이 간 것 같다”면서 “2785개 매장 점주님들의 생명줄이 달려있다. 억측을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선후보·당선인까지"…법사위, '대통령 재판중단법' 의결(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타격 부진? NO' 이정후, 홈런 포함 3안타 '펄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김문수 후보 측 ‘전국위·전당대회 개최 중단’ 가처분 신청(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쪼개기 보호예수’ 백종원, 더본코리아 오버행 우려 잠재울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에 150억 달러 투자 나선 화이자, 디앤디파마텍·인벤티지랩에 호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