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정부 공급 대책 빗겨간 서울 아파트값, 5년 1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

‘강남 3구·마용성’ 주도…성동구 아파트값 11년 만에 가장 큰 폭 상승

서울 시내의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2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5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정부의 대규모 주택공급 대책 발표에도 아파트값 상승세가 쉽사리 진정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성동구 아파트값은 한 주간 0.63%나 뛰며 10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여기에 수도권 아파트값도 상승 폭을 키워 서울 아파트 시장 열기가 주변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둘째 주(1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32% 올랐다. 21주 연속 상승세다.

최근 서울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0.30%→0.28%→0.26%’로 다소 둔화하는 모습이었으나 이번 주 다시 상승 폭을 키웠다. 

통상 8월 둘째 주는 여름 휴가철 비수기인 데다 정부가 ‘8·8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은 직후였는데도 서울 아파트값은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약 5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번 주도 이른바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이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했다. 

서울 자치구 중에서는 금호·행당동 역세권 대단지를 위주로 성동구(0.63%) 아파트값이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 같은 상승률은 2013년 9월 셋째 주(0.69%) 이후 10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성동구 아파트값은 7주 연속 매주 0.5% 이상씩 올랐다. 

성동구 다음으로는 강남 3구로 불리는 송파구(0.58%), 서초구(0.57%), 강남구(0.46%)의 상승률이 높았다. 광진구(0.45%), 동작구(0.41%), 마포구(0.39%), 강동구(0.37%), 용산구(0.36%), 영등포구(0.36%)도 서울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보였다. 

이번 주 수도권(0.16%→0.18%)의 아파트값 상승 폭도 커졌다.

인천(0.10%→0.16%)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상승 폭이 커졌고, 경기(0.11%→0.10%)는 소폭 줄었으나 상승세를 유지했다. 경기 지역에선 망월·신장동 신축 위주로 하남시(0.43%)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성남 수정구(0.39%)와 과천시(0.33%)도 상승했다.

반면 지방(-0.02%→-0.02%) 아파트값의 하락 폭은 유지돼 수도권과 온도차가 뚜렷하다. 미분양이 많은 대구(-0.11%)와 제주(-0.06%), 광주(-0.05%), 부산(-0.03%) 등이 하락했다.

전국 기준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이번 주 0.08%로 집계됐다. 

부동산원은 “연초 대비 높은 수준의 거래량이 유지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지되고 있다”면서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가격이 상승하고, 추격 매수세가 지속돼 상승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2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3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4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5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6‘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7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8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9"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

실시간 뉴스

1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2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3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4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5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