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카카오뱅크, '모임 체크카드' 출시 1년여 만에 누적 100만 장 돌파
- 캐시백 혜택·모임 편의성·다양한 디자인 인기 비결
5만 원 이상 결제 할 때마다 '최대 3000원 캐시백'

카카오뱅크 '모임 체크카드'는 모임통장 고객을 위한 전용 상품이다. 지난해 4월 선보인 이후 출시 3주 만에 10만 장, 2달 만에 20만 장을 달성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으며, 지난 7월 출시 1년 3개월 만에 대망의 누적 발급량 100만 장을 돌파했다. 이는 하루 2천 장 이상의 카드가 새롭게 발급된 셈이다.
모임 활동에 최적화된 사용성과 다양한 디자인 선택지가 인기의 비결로 분석된다. 큰 금액 결제가 자주 발생하는 모임통장 고객 특성에 맞춰, ‘모임 체크카드’ 고객에게는 캐시백 한도 없이 5만 원 이상 결제할 때마다 3000원 또는 300원의 실시간 랜덤 캐시백을 제공한다. 지난 7월말까지 카카오뱅크가 '모임 체크카드' 고객에게 돌려드린 캐시백 혜택만 누적 30억원에 이른다.
모임 회비를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나의 모임통장에 ‘카카오뱅크 프렌즈 체크카드’와 ‘모임 체크카드’를 각각 한 장씩, 총 두 장까지 발급할 수 있다. 모든 결제 내역은 ‘카드 이용내역’ 페이지에서 카드별로 실시간 분리 조회가 가능해, 모임 회비를 편리하고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다.
실제 복수카드를 발급받은 모임통장 고객은 약 10% 수준이다. 복수카드를 활용하는 고객들은 결제 금액 및 결제처에 따라 두 카드 중 하나를 사용해 더 많은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모임 유형으로 ▲부부와 ▲데이트를 선택한 모임의 경우 복수카드 보유 고객 비중이 더욱 크게 나타나, 공동 지출 비용과 개인 지출 비용을 구분해야하는 부부·연인의 경우 복수카드 발급 경향이 보다 뚜렷한 것으로 분석됐다.
모임 유형에 따라 '모임 체크카드'를 활용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부부 ▲데이트 등 소규모 모임의 경우 ▲친목 ▲동아리 등 다수 모임에 비해 월 평균 이용 건수가 3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건별 평균 이용 금액의 경우 절반 이상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총 3가지의 다양한 카드 디자인 역시 인기 요인이다. 카카오프렌즈의 라이언, 춘식이 캐릭터가 적용된 '모임라춘'부터 모임에 맞는 문구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모임투게더' 카드까지 다양한 디자인을 준비해 고객들의 기호에 맞게 카드를 고를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특히 가장 많은 고객이 고른 카드는 '모임라춘' 카드로, 전체 '모임 체크카드' 고객 중 55%의 고객이 '모임라춘' 디자인을 선택했다.
카카오뱅크는 "모임 회비 운영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캐시백 혜택과 편의 기능을 바탕으로 모임통장 고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은 결과 누적 발급량 100만 장을 달성했다"며 "앞으로도 모임 활동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더해 모임통장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SG메디칼 "UCK 2025서 암 정밀의료 기술 선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조윤희 딸 로아, 훌쩍 큰 근황…여유로운 괌 여행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김밥 통째로 꿀꺽?" 난리났다…뜻밖의 '케데헌' 수혜주[주톡피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반려동물 700만 시대 ‘펫 장례’에 베팅…프랙시스, 21그램 품는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로나 테마주 우정바이오·비만약 섹터 펩트론·인벤티지랩 급등[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