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일본만 난리인 줄 알았는데…한국서도 매독 환자 ‘폭증’, 왜?

'전수감시 대상된 뒤' 폭증…8월까지만 1800여명

매독 증세. [사진 MSD매뉴얼 웹사이트 캡처]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최근 일본에서 ‘성 매개 감염병’ 중 하나인 매독이 심각한 수준으로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전수감시 대상으로 전환된 이후 감염 환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매독 감염 환자 수는 1881명으로 집계됐다. 1기 환자가 679명, 2기 환자가 316명이었고, 3기 환자도 39명이나 됐다. 선천성 환자는 9명이었다.

8월까지 환자 수는 지난해 전체 환자 수인 416명의 4.52배에 달한다. 매독 환자 수는 2020년 330명, 2021년 339명, 2022년 401명으로 꾸준히 늘어왔다. 4급 감염병인 매독은 지금까지 표본감시 대상이었지만 올해 1월부터 3급 감염병으로 상향 조정돼 전수감시 대상에 포함됐다. 장기간 전파될 수 있고, 적시에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매독 감염 후 1개월 정도 지나면 감염 부위에 발진이 생기며 나중에는 매독균이 전신으로 퍼지면서 손바닥과 발바닥 등에도 발진이 생긴다. 발진이 없어지더라도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매독균이 체내에 잠복하다가 수년 뒤 심장과 신경 등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임산부가 매독에 감염되면 태아에게 병원균이 감염돼 조산이나 사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아이가 무증상으로 태어나더라도 이후 뼈의 변형이나 난청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서 의원은 “매독의 추가 전파 차단을 위해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질병청은 (매독과 관련해) 현재까지 성 매개 감염병 예산 내에서 역학조사를 위한 여비 일부만 지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올해 새로 시행되는 전수감시 체계를 통해 매독 감염의 정확한 규모와 역학관계를 파악하고, 매독 확산 시 신속한 예산 마련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매독 감염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일본의 경우 2013년부터 매독 감염자가 1000명을 넘어선 이후 2016년 4000명대, 2017년 5000명대에 접어들며 2022년 1만 3250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업 절반, 계획한 인원 채용 못했다…"적합한 지원자 없어"

2SPC 파리바게뜨, 캐나다 밴쿠버 진출...북미시장 확대

3 김용현 측 "대통령, 포고령서 '국민 통행금지' 삭제 지시"

4오비맥주, 한맥 生 거품기 일주일만에 완판

5트럼프 '보편관세' 최악 시나리오, 韓 대미 수출 13.1% 감소

6영풍·MBK, 고려아연 자기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 취하

7크나우프 석고보드, 24년째 고객사 대상 지게차 안전교육 진행

8엔화, 日 추가 금리인상 신중론에 하락 출발…1달러=157엔대

9미래운용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 상장일 거래대금 ‘역대 1위’

실시간 뉴스

1기업 절반, 계획한 인원 채용 못했다…"적합한 지원자 없어"

2SPC 파리바게뜨, 캐나다 밴쿠버 진출...북미시장 확대

3 김용현 측 "대통령, 포고령서 '국민 통행금지' 삭제 지시"

4오비맥주, 한맥 生 거품기 일주일만에 완판

5트럼프 '보편관세' 최악 시나리오, 韓 대미 수출 13.1%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