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차...3개월 만에 시총 10조원 곤두박질

한국CXO연구소 2700여 상장사 조사…상장사 10곳 중 7곳 시총 하락 기록
LG에너지솔루션 3개월 만에 시총 20조원 늘어나 눈길

[자료 한국CXO연구소]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국내 상장사 2700여 곳의 실적이 지난 2분기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시총)은 200조원 가까이 감소했고, 상장사 10곳 중 7곳의 시총이 하락해 한국의 경기 불황을 여실히 보여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4년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2720곳을 대상으로 시총과 순위 등을 2분기와 3분기를 비교해 살펴봤다. 6월 28일과 9월 30일 종가를 기준으로 했다. 

2분기 대비 3분기에 시총이 감소한 기업은 70.7%(1924곳)나 됐다. 시총이 증가한 곳은 678곳에 그쳤고, 118곳은 신규 상장되거나 시총에 변동이 없었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당시 전체 시총은 2621조원이었는데, 9월 말 기준으로 2720개 기업의 전체 시총은 2432조원으로 189조원이 하락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 등의 대장주의 시총도 지난 1분기 동안 10조원 넘게 떨어진 것이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5만 전자’라는 오명을 쓰고 있는 삼성전자는 지난 6월 말 486조5372억원이라는 시총을 기록했는데, 9월 말에는 367조1416억원으로 3개월 만에 120조원 가까이 떨어졌다. SK하이닉스는 45조633억원, 기아는 11조7558억원, 현대차는 10조6802억원의 시총이 3개월 만에 증발했다. 

이에 반해 시총이 시총이 20% 넘게 상승한 곳도 있다. 3개월 만에 1조원 이상 증가한 곳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시총은 9월 말 기준 96조9930억원으로 3개월 만에 20조5920억원이 상승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51조7434억원에서 69조5369억원으로 3개월 만에 17조7935억원이 늘어났다. 시총 상승률은 각각 27%, 34.4% 수준이다. 이 외에도 유한양행(4조9488억원), 셀트리온(4조5840억원), 신한지주(3조7440억원) 등이 3개월 동안 시총이 3조원을 넘겼다. 

시총 1조 클럽 가입 기업수도 6월 말에는 270곳이 넘었지만, 9월 말에는 259곳으로 줄었다. 1조 클럽 가입 기업 중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큰 곳은 제약 관련 코스닥 기업 ‘보로노이’로 나타났다. 6월 말 기준 시총은 8685억원이었지만, 9월 말에는 1조7551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 3분기 국내 시총 외형은 지난 1분기와 2분기 떄보다 더 하락해 최근 3개월 새 국내 주식시장은 전체적으로 먹구름으로 가득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듀랑고가 돌아왔다’…넥슨, ‘메이플스토리 월드’에 ‘듀랑고: 잃어버린 섬’ 출시

2돈나무 언니 픽한 ‘AI계의 숨은 보석’ 1년간 500% 이상 폭등

3‘빽햄’ 악재에 휘청이는 백종원 회사...개미들도 분노

4최태원 등 사절단 미국 방문...대미 통상 협력 단추 꾈까

5필리핀 하원,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 탄핵

6 "천승휘가 항문 선생님으로"...추영우, 너드남으로 변신한 패션은?

7“여보, 신차 꿈도 꾸지마”...새해부터 자동차 안 팔린다

8‘원팀’ 향하던 혼다·닛산...‘합병 협상 중단’

9“역시 킹갓 부영”…부영그룹, 시무식서 출산장려금 28억 쐈다

실시간 뉴스

1‘듀랑고가 돌아왔다’…넥슨, ‘메이플스토리 월드’에 ‘듀랑고: 잃어버린 섬’ 출시

2돈나무 언니 픽한 ‘AI계의 숨은 보석’ 1년간 500% 이상 폭등

3‘빽햄’ 악재에 휘청이는 백종원 회사...개미들도 분노

4최태원 등 사절단 미국 방문...대미 통상 협력 단추 꾈까

5필리핀 하원,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 탄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