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배추 괜찮을까..." 김장철 앞두고 업계·소비자 고민↑
초도물량 16t, 업체에 우선 공급 마쳐

소비자들은 사용해 본 적 없는 중국산 배추 구입이 망설여지는 한편, 업계에선 자칫하면 국내 배추업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골자다. 또 높은 수요를 보이는 가을이 지나면 단가 하락으로 공급자들의 생산 포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는 우선 국내배추의 공급 증가로 가격경쟁력이 생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순연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8일 오전 열린 브리핑에서 "출하지 확대·기상여건 개선 등으로 배추 수급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달 하순부터는 경북지역(문경·영양), 충북 괴산 등 출하지역 확대에 이어 11월에는 최대 주산지인 전남 해남 등에서도 배추가 본격 수확될 예정이다. 여기에 가을배추가 본격 출하되기 전인 10월 중순까지는 출하장려금을 지원해 공급을 가속화하고 있다.
박순연 정책관은 "해당 지역들은 아직까지 잎 수가 전·평년보다 감소하는 등 다소 작황이 부진하다"며 "이달 들어 배추 생육에 적합한 기온 분포를 보이고 있고 지속적인 영양제 공급 등 작황관리를 강화하면서 상황이 호전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김치·외식업체 등에는 중국산 배추 약 4000톤을 공급해 혼란을 막을 방침이다. 지난달 도착한 경기도 이천에 도착한 중국산 배추 초도물량 16t은 우선적으로 김치업체에 공급됐다.
소비자의 구매 부담도 완화한다. 오는 9일까지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배추에 대해 최대 40%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관련 예산은 한 주당 약 10억원으로, 필요 시 할인기간을 추가 연장할 예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