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cm에 69kg 여성, 비만 아냐"...한국 비만 기준 높여야
현행 비만 기준 BMI 25 → 27로 높여야, 건강보험연구원 발표

1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열린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002∼2003년 일반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847만 명을 2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BMI(Body Mass Index)는 몸무게(㎏)를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가장 널리 비만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척도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기준에 따라 BMI 18.5∼22.9 '정상', 23∼24.9 '비만 전단계'(위험체중 및 과체중), 25 이상 '비만'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연구진이 추적 관찰 결과를 통해 BMI와 총 사망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체중인 BMI 18.5 미만은 BMI 25 구간 대비 사망 위험이 오히려 1.72배 높았고, 비만인 BMI 35 이상에선 1.64배 높게 나타났다.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교수는 "20년 전 분석에선 BMI 23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을 보였는데 그간 체형과 생활습관, 질병양상이 서구와 닮아가는 변화를 보여 이제는 BMI 25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금의 비만 진단 기준을 BMI 27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한국인의 적절한 진단기준이라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BMI상 비만 기준을 27로 변경할 경우, 신장 160cm에 체중 69kg의 여성도 BMI 26.95로 비만이 아닌 '비만 전단계' 범위에 속하게 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콜마, 친환경 종이팩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2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
3‘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글로벌 순항…호평 이끈 세 가지 키워드
4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관세 갈등 속 안전자산 선호 급증
5홍현희 제이쓴 60억 집 떠나는 이유…오은영 발언 때문?
6이병헌 이민정 출산 후 시력 잃고…"아이 바뀐거 아니야?"
7 이재명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임기 내 건립”
8트럼프 "큰 진전"…美·日 무역협상 전격 개시
9“韓 스타트업, 해외 투자 유치 위해선 ‘단일성’ 버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