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실주행 측정하니...'계기판 주행가능거리' 보다 120㎞ 못가
동절기 가정 -1℃서 측정, 현대·기아는 10% 이내

26일 한국소비자원은 현대차와 기아, 테슬라 등 3개 전기차 브랜드 대표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시험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 대상 차량은 기아의 EV6 롱레인지 4WD 어스(제조 연월 2023년 4월), 현대차의 아이오닉5 롱레인지 AWD 익스클루시브(2023년 2월), 테슬라의 모델3 롱레인지 AWD(2022년 4월) 등 3개다.
실험은 완충된 배터리가 10%로 떨어질 때까지 시속 100∼110㎞로 고속 주행한 후, 100% 방전 시로 환산한 실주행 거리와 배터리 완충 시 계기판에 표시된 주행 가능 거리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18℃의 상온에서의 시험 평가 결과는 현대와 기아차가 계기판 상의 주행 가능 거리와 실주행 거리 간 오차가 1∼2㎞로 미미했으나, 테슬라는 실제 주행 가능 거리가 계기판보다 34㎞(6%)가량 짧았다.
동절기를 가정한 -1℃의 저온 조건은 차이가 더 커졌다. 기아가 22㎞(6%), 현대차가 35㎞(10%) 짧아졌고, 테슬라는 120㎞(21%) 줄어들었다.
통상 기온이 내려가면 배터리의 전비가 낮아져 기본 성능이 떨어지고, 히터 작동 등으로 배터리가 추가 소모되기 때문에 주행거리 감소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만 해당 부분에 대해 제조사들이 계기판에 보정치로 적용하는데, 오차가 클 경우 운행 중 예상치 못하게 차량이 멈춰 안전사고까지 이어질 수 있다.
소비자원은 이번 시험평가 결과를 토대로 3사에 주행가능거리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현대와 기아차는 내용에 공감하며 기술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언급했지만, 테슬라는 답변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