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지역 '50평 이상 아파트값' 더 올랐다

국민평형 85㎡ 가격 상승률 제쳐
대형 평수 수요 줄며 희소성 오히려 커져

서울 시내의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 연합뉴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대형 아파트의 가격이 다른 면적대보다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국민평형’ 중심으로 공급이 이뤄지면서 대형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되는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주택규모별 매매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전용면적 135㎡(약 50평)를 초과하는 아파트 가격은 전월보다 0.42% 상승했다. 같은 기간 40㎡ 이하는 0.09%, 60㎡ 이하 0.17%, 60㎡ 초과∼85㎡ 이하 0.30%, 85㎡ 초과∼102㎡ 이하 0.36%, 102㎡ 초과∼135㎡ 이하 0.26% 등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대형으로 분류되는 135㎡ 초과 아파트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이런 흐름은 수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양상이다.

135㎡ 초과 아파트는 지난 9월과 10월에도 각각 1.11%와 0.78% 오르며 여러 면적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중형의 지난 9월과 10월 상승률은 각각 0.97%와 0.59%를 기록했다. 소위 ‘국민평형’으로 불리며 수요가 높은 중형(85㎡ 초과∼102㎡ 이하) 아파트의 상승률을 추월했다.

대형 아파트 가격이 뛰는 것은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2020년 1월부터 지난 11월까지 서울에서 분양한 2만 5583가구(일반공급 기준)를 면적별로 분석한 결과 135㎡ 이상 공급 물량은 단 183가구(0.72%)에 불과했다. 희소성이 부각되며 최근 강남의 대형 평형은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전용면적 183㎡는 지난달 86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남구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전용 145㎡는 지난 10월 말 역대 최고가인 49억9000만원에 팔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등 패션 플랫폼 ‘비상경영’ 돌입...무신사 갑자기 왜

2美 CSIS "조선 재건 위해 韓 한화오션·HD현대重 맞손 제시"

3“과태료 내고 말지”…15회 이상 무인단속 상습 위반자, 16만명 넘었다

4지은 지 30년 넘었으면 재건축 더 쉬워진다

5"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

6클릭 한번에 기부 완료…동물구조 돕는 ‘좋아요’ 캠페인

7제니가 콕 집은 '바나나킥'...미국서 도넛으로 변신, 그 모습은?

8TSMC “인텔과 협의 없다”…기술 공유설 선 그어

9제주항공 참사, 美 소송 초읽기...‘보잉·FAA’ 전방위 압박

실시간 뉴스

11등 패션 플랫폼 ‘비상경영’ 돌입...무신사 갑자기 왜

2美 CSIS "조선 재건 위해 韓 한화오션·HD현대重 맞손 제시"

3“과태료 내고 말지”…15회 이상 무인단속 상습 위반자, 16만명 넘었다

4지은 지 30년 넘었으면 재건축 더 쉬워진다

5"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