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 분양물량 역대 최저…"33% 세부일정 확정 못해"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인건비 증가 영향
수도권 공급 불안 우려 더 커져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14만6130가구다. 이는 조사 이래 가장 적은 2010년(17만2670가구) 물량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이 중 아직 분양 일정을 잡지 못한 물량은 4만8227가구로 전체의 3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분양예정 물량 2만1719가구 중 48%인 1만432가구가 일정을 잡지 못했고, 경기는 5만550가구 중 33.2%인 1만6758가구가 미정이다.
광주는 전체 1294가구 중 76.8%에 달하는 994가구가 일정을 확정하지 못했고, 충남 역시 1만3496가구 중 절반이 넘는 7148가구의 분양 일정이 미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몇 년간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증가 등으로 공사비가 급등하면서 정비사업장은 물론 공공주택 등 공급 시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는 경기 침체와 탄핵정국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일부 사업지의 경우 분양 일정이 연기될 수도 있다.
10대 대형 건설사의 분양계획 물량도 전년 대비 약 31%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건설사의 올해 분양계획 물량은 10만7612가구로 전년(15만5892가구) 대비 31% 줄었다.
분양물량 감소로 수도권의 공급 불안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특히 올해 수도권 아파트 분양 물량 중 절반 이상은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될 예정인데, 공사비·사업비로 인한 갈등이 여전해 사업 지연 우려가 나온다.
이지현 주산연 부연구위원은 "대출규제 강화와 올해 경기 전망 악화, 탄핵 정국에 따른 불안 심리 등으로 분양전망 지수가 석 달 연속 크게 하락했다"며 "다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등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공급 부족 누적 등으로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면 늦어도 6월 이전에는 지수 하락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
6현대이지웰, 복지몰 업계 최초 전자금융업 등록
7롯데홈쇼핑, 美 패션매장서 업계 첫 ‘현장 라이브커머스’ 연다
8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9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