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츠, 일본 시장 진출…서비스 명은 '로켓나우'
현지 법인 'CP 원 재팬' 설립 후 라이더 모집

21일 배달앱 업계에 따르면 쿠팡이츠는 지난 14일부터 일본 내에서 앱을 출시하고 도쿄 중심부 미나토 지역에서 음식배달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명은 '로켓나우'다. 쿠팡은 현지 법인 'CP 원 재팬'(CP One Japan)을 설립하고 라이더를 모집했다.
쿠팡이츠는 시범 서비스를 운영하다 사업 확대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쿠팡이츠가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쿠팡은 2021년 쿠팡재팬을 설립하고 도쿄 일부 지역에서 식품·생필품을 최단 10분 만에 배송하는 퀵커머스 서비스를 하다 2년 만에 철수했다.
대규모 물류 투자가 필요한 퀵커머스와는 달리 투자 비용이 적은 음식 배달로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
일본은 코로나19를 거치며 배달시장이 급성장했으나 여전히 성장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능률협회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음식배달 시장은 2019년 1700억엔(약 1조6000억원)에서 2022년 3300억엔(약 3조2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일본 음식배달 시장은 우버이츠가 70%를 점유하고 있다.
쿠팡이츠는 한국에서 음식배달 시장의 60%를 점유한 배달의민족에 도전해 공격적인 무료배달 서비스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25%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쿠팡이츠 월간활성이용자(MAU)는 963만명으로 1000만명에 육박한다. 1년 전과 비교하면 404만명(72%)이나 늘어난 수치다.
쿠팡이츠는 국내에서는 1400만명에 이르는 쿠팡 와우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무료 배달 혜택을 제공한 덕분에 급성장했는데 멤버십 회원 기반이 없는 일본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배달의민족은 2014년과 2020년 각각 일본 배달앱 시장에 진출했다가 모두 철수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