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사용자 접점' DNA, 카카오와 닮았다"...카카오, 챗GPT 결합 추진
카카오톡, 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 적용 예정
샘 올트먼 오픈AI CEO도 참석...전략적 제휴 체결 발표
[이코노미스트 라예진 기자] "카카오는 세계 최고의 AI 모델을 빠르게 확보해서 최고의 AI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자 고민했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 논의해온 오픈AI와의 협력 방향을 공유합니다."
카카오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오픈AI(Open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에 대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가 꿈꾸는 AI 미래시대에 대해 이야기하며, 카카오가 지향하는 AI 전략 방향을 설명했다. 이 날 간담회에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를 비롯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했다.
카카오의 AI 사업 방향성은 직접 개발보다 이미 개발된 AI 모델 중 최고의 모델을 가져와 적용하는 것. 카카오가 찾은 협력사는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양사는 지난해 9월부터 관련 논의를 진행해왔고, 'AI 보편화' 'AI 대중화'라는 쟁점에서 두 기업의 지향점이 일치해 실질적인 협력까지 이어졌다. 특히 카카오는 5000만명 대한민국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국민 채팅앱'이라는 부분에서 오픈AI의 사용자 확장 목표를 채울 것으로 평가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오랜 기간 국민 다수의 일상을 함께 하며 축적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선보이는 것이 지금 시대 카카오의 역할일 것”이라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번 전략적 제휴로 양사는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기술 API를 활용한다. 또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하고자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한다.
특히 현재 개발중인 카나나(Kanana) 서비스에 자체 언어모델과 더불어 오픈AI의 모델이 함께 활용된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로, 여기에 오픈AI이 기술이 더해질 전망이다.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상품 개발의 키워드는 '한국형 상품'. 한국 이용자를 보유한 카카오를 기반으로 한국 실정에 맞는 AI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오픈AI 기술력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AI 모델 속도가 18개월 마다 2배씩 빨라지고 있다. 반면 비용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 같은 오픈AI의 기술력이 카카오와 만나 한국에 맞는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 일상을 더 편리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 또한 "글로벌 AI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와의 전략적 협업에 기대가 크다”며 “이번 제휴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의 고도화는 물론, 필요한 미래를 더 가깝게 만들려는 카카오의 노력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오픈AI(Open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에 대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가 꿈꾸는 AI 미래시대에 대해 이야기하며, 카카오가 지향하는 AI 전략 방향을 설명했다. 이 날 간담회에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를 비롯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했다.
카카오의 AI 사업 방향성은 직접 개발보다 이미 개발된 AI 모델 중 최고의 모델을 가져와 적용하는 것. 카카오가 찾은 협력사는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양사는 지난해 9월부터 관련 논의를 진행해왔고, 'AI 보편화' 'AI 대중화'라는 쟁점에서 두 기업의 지향점이 일치해 실질적인 협력까지 이어졌다. 특히 카카오는 5000만명 대한민국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국민 채팅앱'이라는 부분에서 오픈AI의 사용자 확장 목표를 채울 것으로 평가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오랜 기간 국민 다수의 일상을 함께 하며 축적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선보이는 것이 지금 시대 카카오의 역할일 것”이라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번 전략적 제휴로 양사는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기술 API를 활용한다. 또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하고자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한다.
특히 현재 개발중인 카나나(Kanana) 서비스에 자체 언어모델과 더불어 오픈AI의 모델이 함께 활용된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로, 여기에 오픈AI이 기술이 더해질 전망이다.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상품 개발의 키워드는 '한국형 상품'. 한국 이용자를 보유한 카카오를 기반으로 한국 실정에 맞는 AI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오픈AI 기술력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AI 모델 속도가 18개월 마다 2배씩 빨라지고 있다. 반면 비용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 같은 오픈AI의 기술력이 카카오와 만나 한국에 맞는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 일상을 더 편리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 또한 "글로벌 AI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와의 전략적 협업에 기대가 크다”며 “이번 제휴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의 고도화는 물론, 필요한 미래를 더 가깝게 만들려는 카카오의 노력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 ‘아카데미’ 강원, 경상, 전라, 제주, 충청, 세종 지역 결과 발표
2"갤럭시 S25 대란?"...S 시리즈 중 최다 사전 판매, 가장 많이 팔린 색상은?
3“신입을 뽑아야 경력을 쌓죠”...경력직 선호에 청년 평생소득 13% 줄어
4부당대출 2334억원 적발…우리금융, 동양·ABL생명 인수 영향은
5"오픈AI의 '사용자 접점' DNA, 카카오와 닮았다"...카카오, 챗GPT 결합 추진
6건설경기 한파, 집값 하락 겹악재 공포
7BEP, 태양광 발전 PF 완료...760억 규모
8한화, 베이커휴즈와 ‘저탄소 암모니아 가스터빈’ 개발 맞손
9 오픈AI·카카오 전략적 제휴…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