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P, 제주서 ‘92MWh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착공

BEP는 6일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에 92MWh 규모의 BESS를 구축하는 사업을 본격 착공했으며, 오는 11월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남부발전, 탑솔라와 전략적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된다. 해당 컨소시엄은 2023년 11월 전력거래소가 주관한 ‘제주 장주기 BESS 중앙계약시장 공모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제주 지역은 풍부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력 공급 과잉으로 인해 잦은 출력제어가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돼 왔다.
실제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 지역에서 풍력발전은 285회, 태양광발전은 93회의 출력제어를 받았다. 2024년 8월 기준으로도 풍력발전 51회, 태양광발전 32회의 출력제어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BEP는 이번 제주 BESS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호남 지역 장주기 BESS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방침이다. 제주 사업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활용해 호남 지역 특성에 맞는 전력 계통 안정화 솔루션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김희성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대표는 “재생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BESS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BEP는 제주 장주기 BESS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호남 지역에서도 기술력과 수행 능력을 입증하며 에너지 대전환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2'노후 걱정? 그게 뭐지' 국민연금 500만원 부부 첫 등장
3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폭탄’…앞으로 전망은?
4'저속노화' 정희원 교수 레시피 담았더니...'건강 햇반' 터졌다
5"탄핵선고 D-1"…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
6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우리투자증권 MTS 홍보대사로 나서
7아마존, 틱톡 인수전에 막판 참여…"주목받는 입찰자로 떠올라"
8KB증권, ‘PRIME CLUB 2025년 상반기 투자콘서트’ 개최
9韓대행, 美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긴급회의…"범정부 긴급 대책 마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