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 업계, 영업이익 반등 성공…‘脫TV 시대’ 생존 전략은
패션·뷰티·건강식품 등 고마진 상품 중심 수익성 강화 영향
TV 송출수수료 부담 증가로 모바일·SNS·라이브 커머스 등 확대
![](/data/ecn/image/2025/02/13/ecn20250213000071.800x.0.jpg)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CJ ENM 커머스부문(CJ온스타일)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832억원으로 전년 대비 20.1% 증가했다. 매출은 1조4514억 원으로 8.5% 늘었다. 현대홈쇼핑 역시 지난해 매출 1조926억원, 영업이익 61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1.7%, 37.7% 증가했다.
롯데홈쇼핑은 매출이 전년 대비 1.8% 감소한 9249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498억원으로 503.4%나 급증했다. 반면, GS샵은 매출은 전년 대비 7% 줄어 1조521억원, 영업이익은 8.4% 감소한 1071억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바일 부문 경쟁력이 받쳐주면서 주요 홈쇼핑 4사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시현했다.
이는 4사 모두 2023년과 비교하면 괄목할 반전의 성과다. 실제 이 회사들의 전년 대비 2023년 영업이익 감소율은 ▲CJ온스타일 -4.1% ▲GS샵 -17.3% ▲현대홈쇼핑 -60.2% ▲롯데홈쇼핑 -89.4%였다.
이처럼 홈쇼핑 업계가 1년 만에 다시 미소 짓게 된 배경에는 수익성 강화를 위해 고마진 상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조정을 이어가는 데 있다. 현대홈쇼핑과 롯데홈쇼핑은 가전·렌탈 등의 저마진 상품을 줄이고, 패션·뷰티 등의 고이익 상품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지속하고 있다.
CJ온스타일은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MLC)를 강화해 MLC 거래액을 급증시키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CJ온스타일의 지난해 MLC 거래액은 3232억원으로 지난 2022년 1393억원에 비해 132%나 증가했다.
![](/data/ecn/image/2025/02/13/ecn20250213000073.640x.0.jpg)
지난 2023년 TV홈쇼핑 7개 법인(CJ·GS·현대·롯데·NS·홈앤쇼핑·공영)이 유료방송사업자에 지불한 송출수수료는 1조9375억원으로, 이는 홈쇼핑 방송 매출액의 71% 규모다.
홈쇼핑 회사들이 방송으로 1000원을 벌면 700원을 수수료로 내는 셈이다. 이 같은 갈등으로 CJ온스타일은 지난해 12월 5일 딜라이브·아름방송·CCS충북방송에 방송 송출 중단을 단행한 바 있다.
절대적인 TV 시청자 수가 감소하는 것도 문제다. ‘2024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주 5일 이상 TV 이용비율은 69.1%로 전년(71.4%) 대비 감소했다. 반면,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이용비율은 92.2%로 전년(91.4%) 대비 증가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홈쇼핑 업체들은 ‘탈(脫)TV’ 전략을 가속화하며 ▲모바일 라이브 방송 ▲유튜브 ▲자체 애플리케이션(앱) 등으로 판매 채널을 다각화하는 중이다.
CJ온스타일은 ‘원 플랫폼’(One Platform) 전략을 통해 TV홈쇼핑·온라인몰·데이터홈쇼핑(T커머스)을 통합하고 있다. 여기에 티빙·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등 외부 동영상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 CJ온스타일은 작년부터 모바일 라이브방송을 늘리고 제품의 특징과 장점이 돋보이도록 편집한 숏폼(1분 미만) 콘텐츠도 대폭 강화했다.
롯데홈쇼핑의 경우 단독 상품을 TV홈쇼핑·라이브 커머스·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다양한 채널에서 선보이는 ‘멀티채널 상품 프로바이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해외 라이브 방송 ▲해외 브랜드 유통사업 ▲캐릭터 지식재산(IP) 수익화 등 신사업을 추진하며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홈쇼핑 업체들은 시장 환경이 계속해서 변화하는 만큼 기존 방식에 머무르기보다 새로운 판매 채널과 고수익 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향후에도 송출수수료 문제 등 구조적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효율적인 운영과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이리드비엠에스,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2"이제 더는 못 먹어"…'일본판 쯔양' 먹방女 돌연 은퇴, 왜?
3내일부터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 카드수수료 0.1%p 내린다
4중국서 울상 된 애플…알리바바 AI에 ‘러브콜’
5법원 “다크앤다커 저작권침해 아냐…넥슨에 85억원 배상”
6중기부, 중소기업 150개사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나선다
7셀트리온, 악템라 시밀러 앱토즈마 SC 제형 국내 허가
8경북 봉화군, 경북 화훼산업 중심지로
9대구 치과의료기업, 두바이서 544만 달러 계약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