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11%가 ‘색조 화장’...청소년 피부 건강 ‘빨간불’
색조 화장 시작, 초등학교 5학년 다수
화장품 사용정보, 주변사람 통해 주로 습득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최근 초등학생 사이에서 색조 화장품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 교육과 안전성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색조 화장을 시작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초등학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화장품 사용 안전 가이드라인을 안내한다고 밝혔다.
식약처가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초등학생 9274명과 중·고등학생 4678명을 대상으로 화장품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의 11%(1025명), 중·고등학생의 26%(1196명)가 색조 화장품을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색조 화장을 시작하는 연령대는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사이가 가장 많았다.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32%(329명)가 초등학교 5학년 때 처음 색조 화장을 시작했으며, 24%(243명)는 초등학교 6학년부터 사용했다고 답했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39%(470명)가 초등학교 6학년 때 색조 화장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이 화장품 관련 정보를 얻는 방식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 52%(6151명)은 부모와 친구 등 주변 사람들을 통해 화장품 정보를 접했다. 이어 유튜브(20%·2401명)와 SNS(10%·1208명)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36%(2426명)가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았다. 이어 SNS(22%·1521명), 유튜브(19%·1324명) 순으로 집계됐다.
식약처는 초등학생 및 청소년들이 색조 화장품을 사용할 때 ▲금속 성분에 의한 알레르기 피부염 가능성 ▲제품 성분 확인 ▲유통기한 및 사용기한 준수 등의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아이섀도, 립스틱, 마스카라 등 눈과 입술에 직접 닿는 제품은 특히 더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청소년기에는 호르몬 분비가 왕성해져 피지 생산량이 증가하고 각질층이 두꺼워지면서 피지 배출이 어려워진다. 이에 식약처는 여드름이 생기기 쉽고 화장품의 성분에 의해 모공이 막히기 쉬우므로 가급적 색조 화장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색조 화장품을 사용했다면 화장 후 세안을 꼼꼼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색조 화장품의 특성상 친구들과 공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변패 또는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공유하지 않아야 한다.
색조 화장품, 눈화장용 제품의 색상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색소나 금속 등은 피부에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다.
다만 같은 화장품이라도 특정 성분에 대한 피부 알레르기 반응 여부와 그 정도가 사람마다 다르므로 색조 화장품 구매 전 라벨에 표시된 성분을 참고하거나 샘플을 귀밑 등의 피부에 적은 양을 먼저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다.
특히 식약처는 지난해 알리·테무 등에서 구매한 색조화장품, 눈화장용 화장품에서 납, 니켈 등 중금속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해외직구 화장품 구매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같은 제품명을 가진 화장품이라도 국가별로 사용금지 원료에 차이가 있으므로 국내에서 사용을 금지한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꼭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