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청년·여성·고령층 고용률 올랐지만…OECD 중하위권 머물러
- 여성 저임금 비중 여전히 높아

24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국내 청년·여성·고령층 고용률은 각각 45%, 61.4%, 69.9%로 OECD 38개국(청년은 35개국) 중 27위, 30위, 15위로 나타났다.
2014년과 비교해 청년(5.4%p↑), 여성(6.4%p↑), 고령층(4.2%p↑) 모두 고용률이 높아졌지만, OECD 국가 순위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계층은 없었다.
특히 청년층은 고용률 자체는 올랐으나 청년들이 일반적으로 희망하는 전일제 일자리에 취업한 경우는 줄어 고용의 질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전일제 종사자 수는 2014년 약 120만명에서 2023년 80만명으로 연평균 4.4% 감소하며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연평균 성장률을 나타냈다. 반면 아르바이트 등 시간제 일자리 종사자 수는 2014년 38만명에서 2023년 56만명으로 연평균 4.4% 늘어 OECD 6위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경협은 "경기침체 장기화뿐 아니라 노동시장 이중구조, 산업구조 변화 등의 구조적 문제로 청년층이 원하는 전일제 일자리가 줄어들며 시간제 일자리로 유입되는 청년이 증가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여성 고용률은 지난 10년간 OECD 38개국 중 30∼31위에 그치며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여성 전일제 임금 근로자 중 저임금 노동자 비중은 OECD 국가 평균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임금 노동자는 중위 임금의 3분의 2 이하를 받는 경우를 뜻한다.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중은 2014년 37.8%(OECD 1위)에서 2023년 24.5%(OECD 4위)로 다소 개선됐지만, 비중이 높은 순으로는 OECD 국가 중 5위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다.
이는 여성 노동자가 임금 수준이 낮은 음식·숙박업 등 산업과 서비스·돌봄 직군 등에 집중된 데 따른 것이라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고령층 고용률은 지난 10년간 대체로 꾸준히 높아졌지만, 다른 OECD 국가들에서 더 높게 오르며 한국의 순위는 7위에서 15위로 낮아졌다.
한경협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장기화하자 싱가포르, 호주 등 주요 국가들이 청년, 고령층 등의 취업 지원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며 한국도 고용 취약 계층의 구조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핀셋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경기 침체 지속으로 취약계층의 고용 불안정성이 더욱 심화할 우려가 있다"며 "취약계층의 경제활동 촉진과 고용안정을 위해 맞춤형 고용지원 및 사회안전망 강화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MZ세대 공략" 뉴트리, 지노마스터 ‘Time to G’ 캠페인 온에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키움, 프로야구 발전 저해 행위 중단하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