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갈비탕 맞나요?"…여름휴가길 평창휴게소 갈비탕, 부실한 고기 품질 논란
- 1만6900원짜리 갈비탕, 지방·근막 가득

28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강원도 평창휴게소 1만6900원 갈비탕'이라는 제목의 글과 함께 사진이 올라왔다. 사진 속 갈비탕에는 도가니탕을 연상시킬 만큼 국물 위에 하얀 지방이 두껍게 떠 있었다.
작성자 A씨는 "지난주 여름휴가 가는 길목에 들른 강원도 평창휴게소 한 식당의 1만6900원짜리 갈비탕"이라며 "보통 갈비탕은 맑은데 지나치게 계란 지단, 대추, 파 깨 등 일반적이지 않은 고명들이 많이 올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갈비 한 점을 올려보니 허연 지방층이 나왔다. 강원도 오징어가 아닌 순수 지방 덩어리"라며 "또 다른 갈비 한 덩이를 들춰보니 아예 근막도 제거가 안 돼 있어 씹을 수가 없었다. 저 많은 불필요한 고명들은 손질하지 않는 내용물을 감추기 위한 묘수였다는 걸 뒤늦게 알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다른 덩이를 들어보니 두꺼운 지방층 사이에 숨겨져 있는 고기 한 토막이 저를 더 화나게 했다"며 "가위로 직접 손질해서 나온 지방 덩어리들이 너무 많아서 그냥 버렸다. 가족들과 함께 강원도 휴가에 들뜬 마음에 일부러 비싼 갈비탕을 시켜봤는데 뒤통수 제대로 맞았다"고 토로했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사진의 갈비탕의 갈비는 진짜 갈비가 아니고 갈비 끝 쪽에 연결된 마구리 뼈다. 마구리 뼈는 작게 잘라서 지방을 제거하고 갈비탕에 같이 넣어서 판매도 한다. 마구리 뼈만 들어가 있다면 갈비탕이 아니라 마구리 탕이다" "휴게소에서는 식사하지 말고 용변이나 보고 쓰레기나 던져주고 다니자" 등 날 선 비판이 쏟아졌다.
또 "휴게소 음식값 중 높은 곳은 50% 수수료를 떼어간다. 그래서 저렇게 나오는 것" "일부 휴게소는 지역에서 나는 재료로 음식을 만들던데, 가격도 합리적이더라. 지역 소개 수단으로도 좋으니 활성화됐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한편 휴게소 음식 품질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3일에는 6000원짜리 김밥 사진이 올라와 "편의점 김밥이 100배 낫다" "양심 없다"는 비판이 일었고, 지난달에는 1만1000원짜리 돈가스 사진이 공개돼 "쥐포 튀김이냐" "1100원에도 안 먹을 듯"이라는 반응이 쏟아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박수홍 측 "식품업체 대표 협박 혐의 고소? 박수홍 관계 없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이데일리
고은아, 한쪽 눈이 퉁퉁 부어...조카가 범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K반도체·조선, 한미 관세협상 지렛대…JY '민관 총력전' 가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보수적 기조 유지했던 교정공제회, 연내 부동산 투자 나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제3국으로”…틈새시장서 노다지캐는 K바이오①인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