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농가 피해액 300억원…농민 골치 앓는 ‘이 야생동물’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06억2200만원, 2021년 93억4900만원, 2022년 87억1200만원, 2023년 95억8200만원, 2024년 95억4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물별로는 채소류가 5년간 94억7500만원으로 피해가 가장 컸고, 사과 87억2500만원, 벼 48억900만원, 배 17억1200만원 순이었다. 피해 지역은 강원도가 5년간 101억8500만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경북(71억6600만원) 충북(51억3000만원) 순이었다.
윤 의원은 "농식품부에서 유해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방지시설 설치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피해는 전혀 줄어들고 있지 않다"며 "유해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늘지 않도록 관리하고 침해가 발생하기 전에 집중적으로 포획해야 한다. 또 예방예산을 증액해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힘, 공무원 사망 애도…“대통령은 뭐했나” 맹비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김경문 감독 "김서현 없었으면 2위까지 못 왔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국가전산망 장애 담당 공무원, 세종청사서 투신해 사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국민연금 수익률 더 오른다"…새 역사 쓴 코스피 덕에 '활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암초 만난 인체조직 스킨부스터...김근영 한스바이오메드 대표 “사업 영향 제한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