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여보, 회사에서 왜 바빠요?"…韓 직장인들 업무 시간 보니

조사 결과, 한국 응답자의 68%는 행정 및 반복 업무에 주당 최대 10시간을 소비한다고 답했다. 정보 검색 및 관리, 보고서 작성 등 분석 관련 정기 업무에 시간을 쓴다는 응답도 각각 70%, 66%에 달했다. 반면, 응답자의 절반은 전략 회의나 의사 결정에 할애하는 시간이 주당 5시간 미만이라고 답했다.
인공지능(AI) 도입에 대해 한국 응답자들은 조사 대상국 중 가장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55%는 매주 최대 4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 AI를 도입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글로벌 평균(39%)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AI를 절대 사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한국에서는 9%에 그쳤지만, 글로벌 평균은 28%에 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도서관, 갑작스런 사망…경찰 “지병 등 모든 가능성 수사”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대도서관, 갑작스런 사망…경찰 “지병 등 모든 가능성 수사”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조현 "美 한국인 구금 우려 커…필요시 직접 워싱턴 간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6년 만에 中서 완전 철수한 한화비전, 美법인 정리한 대교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진 글로벌 RNA 선점 경쟁... 러브콜 받는 K바이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