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2030 청년은 극우" 기사 공유…조국, 또다시 '극우 논쟁' 초래

조 원장은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별다른 언급 없이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일수록 극우 청년일 확률 높다'는 제목의 기사를 올렸다. 이날 조 원장이 공유한 해당 기사는 김창환 미 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가 언론매체·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기사는 "2030 남성의 극우화는 실제로 존재하며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내용으로 특히 이들 극우 청년은 서울에 거주하고 경제적 상층에 속할 확률이 높다는 결론을 담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김 교수는 폭력 용인성, 복지에 대해 개인에게 책임을 돌리는 인식, 대북 제재 중시 정도, 한미 동맹 강화 주장, 난민에 대한 배타적 태도 등을 기준으로 삼아 극우를 정의했다.
앞서 조 원장은 지난 22일 자신의 사면·복권을 반대하는 여론이 청년층에서 높다는 지적에 "앞으로도 요청하시면 또 사과할 생각"이라면서도 "2030 남성이 70대와 비슷한 성향, 이른바 극우 성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자녀 입시 비리 문제 등에 대한 2030세대에서의 비판이 2030 남성이 극우화됐기 때문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이후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역시 '갈라치기' 달인"이라며 "조 원장 논리대로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 청년'이 극우라면, 딸인 조민 씨도 극우인가"라고 했다. 이어 "자신에게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2030 남성들을 극우로 낙인찍고, 세대·젠더 갈등을 정치적 자산으로 삼는 듯한 조 원장의 뜻밖의 자기 고백과 발등 찍기에 실소가 나올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최고위원도 이날 자신의 SNS에 "갈라치기 1타 강사, 조국"이라고 썼다. 그는 "갈라치기는 '특정 나이, 특정 계층이 어떻다'라고 무식한 일반화의 오류를 하며 그들을 혐오하는 것"이라며 "'20대 서울에서 잘사는 남자는 극우다' 이런 말들이 갈라치기의 적확한 예시"라고 썼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승준 "잃어버리고 나서 소중했다는 것 깨달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BTS 지민, 송다은과 열애설 입 열었다 "현재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發 반도체 압박…中 장비 반입 제한에 삼성·SK '비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서울회생법원, 양재 ‘캠코양재타워’ 임차 이전 추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디오, 초저가 ‘중국산’ 임플란트로 중국시장 반전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