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농산물, 왜이렇게 비싼가 했더니…'이것' 절반 수준에 눈길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23년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49.2%로, 2013년(45.0%) 대비 4.2%포인트 높아졌다. 소비자가 농산물 1만원어치를 구매하면 유통 단계에서 4,920원을 가져간다는 의미다. 1999년 38.7%와 비교하면 20여년간 10%포인트 넘게 상승한 것이다.
품목별 편차도 컸다. 쌀 등 식량작물은 35.9%였지만, 양파·대파 등 조미채소류는 60.8%, 배추·무 같은 엽근채소류는 64.3%에 달했다. 세부 품목으로는 월동무(78.1%), 양파(72.4%), 고구마(70.4%) 등은 70%를 넘겼다. 과일류, 축산물도 50% 안팎 수준으로 파악됐다.
한국경제TV 보도ㅔㅇ 따르면 정은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실장은 "무·배추 같은 품목은 신선도와 유통기한 문제로 비용률이 70%에 달한다"며 "실제로 생산자가 가져가는 몫은 이보다 훨씬 적다"고 설명했다. 경매 중심의 유통 구조가 상품 등급에 따라 생산자의 수취가를 더 낮추는 요인으로 꼽힌다.
또한 유통비용률이 높아진 배경에는 인건비 상승뿐 아니라 유통업체 이윤 확대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유통 이윤률은 14.6%로, 10년 전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한국은행도 지난해 "농가 판매가격의 상승률이 소비자 가격 상승률에 못 미치면서 격차가 확대됐다"며 도매·소매업체의 지배력을 지적하기도 했다.
정부도 유통구조 개혁을 추진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불합리한 유통 구조를 개선해 소비자와 생산자가 체감하도록 하라"고 지시했으며, 농식품부는 온라인 도매시장 확대와 정가·수의매매 도입을 골자로 한 개혁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온라인 도매시장 중심으로 유통을 전환하고, 거래 참여 자격 기준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가격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생산·유통 정보를 확대 제공하고, 복잡한 경매 중심 구조를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3500억달러 투자 두고 '평행선'…대미협상 교착 장기화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美 포브스→英 NME도 반했다…우주소녀 다영, 첫 솔로에 외신 ‘극찬’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500억달러 투자 두고 '평행선'…대미협상 교착 장기화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혁신 기대했는데…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개점휴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박성민 큐어스트림 대표 “내년 완전자동화 인슐린 펌프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