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less AI Copyright War : How Should We Address it?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현 사회현상에 대해 학생들 시선에서 ‘왜’라는 질문을 갖고 직접 취재해 작성한 기획기사입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의 기획기사는 영문과 국문, 두 형태로 게재합니다.

[Young journalist Cheon Ye On] Currently, AI technology is climbing up to its apex. From AlphaGo to ChatGPT, AI is showcasing enormous growth in the short term. For instance, Suno AI can create catchy music in a few seconds, and OpenAI’s ChatGPT not only writes text, but also creates artworks that seem to be made by real artists.
Moreover, as the trend of ChatGPT converting original photos into Ghibli style became popular, AI users have increased globally. Finally, the time for countless people to freely express their ideas, minds, and creativity has come.
As these situations occur, this problem may be a natural event to happen: The problem centers on AI and its copyright issue. People are debating whether AI violates or doesn’t violate copyright law, creating various interpretations.
For instance, the Ghibli picture trend is a prominent example of this. Would AI generated Ghibli images infringe copyright? Most people would definitely realise that the image is referenced from Ghibli’s original style. These world-renowned companies, such as Giblish are distinguished easily as their own product. Ghibli pictures have their own unique and warm style. Therefore, there would be nobody who claims “AI plagiarized Ghibli’s image!” among those who enjoyed converting their photos into Ghibli style.
Nevertheless, identifying this cleanly as not plagiarizing any other human made works wouldn’t always be the right case. There has been a massive increase of companies and copyright holders that have sued AI industries such as Open AI. The creator of the global hit series ‘Game of Thrones’ sued the AI industry for using the series to train AI without approval. Various media companies such as the New York Times are famous for suing Open AI. At the end of last year, SBS, MBC, and KBS that are Korean media industries sued Naver, appealing disapproval to use the media companies’ creation without any acceptance. SBS, MBC, and KBS requested Naver to pay the compensation. As such, AI companies are being sued due to the reason that they used the original creation without any approval.
As a result, AI creation becomes a path for every person to express their own creativity. However, illegally training AI with creator’s works without their approval brings massive damage in the creators’ ownership, finance, and content company’s value.
But this doesn’t mean that the AI copyright issue isn’t unsolvable at all. Labeling the original reference of AI creation would effectively address this problem. Whenever the user is publishing AI-generated images and other types of works, the user must label that this creation is AI-generated, and if the AI creation is referenced from original human made works, the user should credit the exact reference of the creation. Korea already is about to implement ‘AI Basic Act’, a mandatory law of inserting watermarks in any AI generated videos.
Concurrently, copyright protection law should be enforced. AI companies should pay ‘royalties’ to the creator, earning their right to train the creator’s work for Deep Learning. This method would protect creators’ ownership. According to IT columnist Han Sae-Hee, it is said that “recently media industries such as AP and Axios have signed a contract to provide contents to AI company, and world’s most popular internet community, Reddit monetized AI companies’ data training” and that “Earning profit from AI’s content learning is the way of AI and the creators coexisting”, about paying copyright-fee to the creators.
Through protection of artworks, writing, and other types of creation, we should lead rapidly improving AI technologies in a safe and beneficial path. This is the time to try various methods in order to obstruct AI’s danger.
끊임없는 AI 저작권 분쟁,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현재 AI 기술이 급격히 발전되고 있다. 알파고부터 ChatGPT까지, AI는 단기간 동안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Suno AI는 단 몇 초 만에 노래를 만들 수 있고, OpenAI의 ChatGPT는 글만 써내려갈 뿐이 아니라 실제 사람이 그린 듯한 작품을 만들어낸다. 얼마 전에는 지브리 사진풍으로 사진을 바꾸는 ChatGPT의 이미지 생성 서비스가 유행하면서, AI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전세계적으로 더 늘어났다. 누구나 AI를 쓸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 생각, 그리고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하지만 AI산업이 밝은 면만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AI는 딥러닝이라는 과정을 통해 트레이닝을 받는다. 딥러닝은 웹상에 있는 이미지, 글 등을 수집하여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통하여 AI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게 되고, 그 지식을 활용해 사람들의 질문에 적합한 답변을 제공한다. 인간이 만들어놓은 창작물을 학습하여 결과물을 만드는 AI. 따라서 AI가 만든 결과물은 인간이 이미 만든, 창작자가 창조해낸 것과 비슷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일까. 이 문제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 지 모른다. 바로 AI와 저작권 문제. AI가 만들어낸 콘텐츠가 원작자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인지, 아닌지를 두고, 세계 여러나라에서 다양한 해석과 토론이 이어지고 있다.
지브리풍 이미지를 예를 들어 생각해보자. AI가 만들어준 지브리풍 이미지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지브리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일까, 아닐까? 다수의 사람들은 AI이미지를 보자마자 지브리의 그림을 참고해서 만든 것이라고 바로 알아차린다. 지브리 그림만의 따뜻한 느낌, 고유의 느낌을 모두가 다 알기 때문이다. 따라서 AI가 만들어준 지브리풍 이미지 서비스를 즐긴 사람들 중에서 “AI가 지브리를 표절했네!”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는 AI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정말 이것이 ‘표절’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 있을까? AI가 만들어낸 생성물은 저작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많다. 실제로 Open AI등 AI업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저작권자, 제작사가 늘고 있다. ‘왕좌의 게임’ 원작자는 AI가 자신의 창작물을 무단으로 이용했다는 근거로 집단 소송을 제기 했다. 뉴욕 타임스 등 언론사가 Open AI 기업에게 소송을 제기한 사건도 유명하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언론사인 SBS, MBC, KBS는 네이버가 만든 생성형 AI인 ‘하이퍼클로바’가 각종 언론사의 데이터를 사용했다면서 네이버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렇듯 AI기업들은 원작자의 동의없이 무단으로 원작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각종 소송에 휘말리고 있다.
결론적으로, AI 창작물은 모든 사람들이 상상력을 펼칠 수 있게 도와준다. 하지만 저작권이 존재하는 창작물을 창작자의 허락없이 AI에게 무단으로 학습시키는 것은 창작자의 저작권, 경제권 그리고 콘텐츠 기업 가치에 큰 피해를 준다.
AI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AI생성물에 딥러닝에 활용된 데이터의 출처를 밝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AI가 이미지를 만들었다면, AI가 만든 것이라는 것, 그리고 어떤 작품을 레퍼런스로 삼았는지까지 밝혀야 한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AI영상에 워터마크를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AI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있다.
동시에 저작권 보호 관련 법안을 강화해야 한다. AI 기업은 창작자에게 저작권료를 지불하고, 창작물을 AI에게 학습시킬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아 활용해야 한다. 그래야 창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창작자에게 저작권료를 지불하는 것에 대해 한세희 IT 전문 칼럼리스트는 “최근 AP, 악시오스 등의 언론사들은 AI 개발사와 콘텐츠 제공 계약을 맺기도 했으며, 세계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은 AI 기업의 데이터 학습을 유료화했다”며 “AI의 콘텐츠 학습에 대해 대가를 받는 것이 AI와 창작자가 공존할 길”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창작물 보호를 통하여,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AI 기술을 안전하고 인류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이끌어나가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AI의 위험성을 막기 위해 다양한 해결방안을 시도해야 할 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43년전 처음 등장한 ' :-) ' ..현대인의 필수품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납부능력 없는 국민, 국세체납액도 5000만원까지 탕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