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나만 못 뽑는 거 아니었네?”…'꼼수' 인형뽑기, 게임물관리위원회 경고

조사 결과, 집게발과 배출구를 심의 당시와 다르게 변경하거나, 경품 기준을 위반해 고가의 상품을 넣는 방식이 확인됐다. 이로 인해 이용자들은 정상적인 조건에서 게임을 즐기지 못하고, 반복 결제를 유도당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행법상 인형뽑기 기계는 아케이드 게임으로 분류되며, 합법적으로 유통되기 위해서는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국내에서 허가된 기계 대부분은 “모든 이용자에게 동일한 조건을 제공하며, 우연성이 배제된 상태”라는 기준으로 심사를 받아왔다. 하지만 실제 운영 현장에서는 이를 위반한 조작 사례가 발견된 것이다.
인형뽑기방은 최근 카드 결제와 무인 운영 시스템 도입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 등 미성년자가 부모 카드로 수만 원을 결제하는 경우도 있어, 사행성 우려와 함께 관리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치권과 관련 업계에서는 “소비자 기만과 사행성 조장이 우려되는 만큼, 정기적인 관리와 제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에임드바이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승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영애, 남편 암 투병+가세 몰락 이중고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싹 다 털렸다" 롯데카드 해킹 2차 피해 우려…예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 시장 지각변동…한미약품 신약 기대감 확산[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