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서울 '한강벨트' 아파트값 강세…추가 규제 전 매수세 몰린다
- 동작·성동·강동 9월 들어 상승률 상위권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누적(1일~19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동작구가 0.74%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성동(0.73%) ▲강동(0.72%) ▲송파 위례신도시(0.71%) 순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을 발표하면서 매매거래량이 줄고, 서울 전체 집값 상승폭이 축소되는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추가적인 규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매수를 서두르는 수요가 '한강벨트' 지역으로 몰리면서 거래량도 반등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전날 기준 8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015건으로 나타났다. 아직 신고 기한(9월)이 남았지만 7월 거래량인 3937건을 넘어섰다.
지역별로는 비강남 한강벨트 지역에서 거래량이 늘었다. 마포구는 7월 120건에서 8월 173건으로 늘었고, 같은 기간 성동구 102건→197건, 동작구 134건→183건, 광진구 68건→86건 등으로 증가했다.
한강벨트 지역에서는 신고가 거래도 잇따르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동작구 사당동 '이수푸르지오더프레티움'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23일 17억원에 거래됐다. 6월 거래금액(15억8000만원)보다 1억2000만원이 오르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 전용 49㎡도 올해 2월 9억5000만원에 실거래됐지만, 이달 6일에는 1억5000만원 상승한 11억원에 매매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다.
성동구 금호동1가 벽산 전용 114㎡는 지난 4일 17억9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고, 성수동2차 현대아이파크 전용 104㎡도 기존 최고가(17억5000만원)보다 2억2000만원 오른 19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한편, 부동산 시장에서는 향후 마포·성동 등 한강벨트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추가 지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국토교통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추가 규제 전 매수를 서두르는 수요가 이어지면서 서울 주요 지역의 부동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부동산R114 백새롬 책임연구원은 "똘똘한 한 채 선호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격 상승폭이 큰 한강벨트 인근의 서울 상급지를 중심으로 규제지역 추가 지정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만큼, 향후 대출 한도가 줄거나 실거주 의무가 강화되기 전 매수를 서두르려는 수요 움직임이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소스통 짊어지고 해외로"...백종원 근황 포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김다예♥' 박수홍, 이혼 선언에 '충격'…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블랙록, 韓 AI 수도 만들기 MOU 체결(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중복상장·복잡한 지배구조…에식스솔루션즈 연내 상장심사 '빨간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화이자, 멧세라 인수에 디앤디파마텍 상한가, 美 타임이 픽한 뉴로핏도 초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