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60억원 추징' 이하늬, 이번엔 '미등록 기획사' 잇단 잡음

지난 18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12월 31일까지 '대중문화예술기획업 일제등록 계도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계도기간은 법규나 정책의 자발적 시행을 독려하는 기간으로 이 기간에는 처벌이나 과태료를 면제해 주는 경우가 많다. 문체부 관계자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미등록 기획사를 대상으로 등록 절차와 요건을 안내해 등록을 유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에 따르면 법인 또는 1인을 초과해 개인사업자로 활동 중인 연예인은 반드시 '대중문화예술기획업'으로 등록해야 한다. 2년 이상의 실무 경력, 대표자 결격사유 검증, 독립된 사무소 확보 등 요건이 필요하다. 등록증 교부 후에도 매년 법정 교육 등 의무를 이수해야 자격이 유지된다. 아예 등록을 하지 않았다면 2년 이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이 같은 문체부의 조치는 최근 연예계에서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은 사례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가수 성시경과 뮤지컬 배우 겸 가수 옥주현 외에도 배우 강동원, 가수 송가인, 가수 김완선 등이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수년간 활동해 온 것으로 드러난 상황에서 배우 이하늬가 설립한 기획사 역시 10년 가까이 당국에 정식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운영돼 온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법인은 세무조사를 거쳐 약 60억 원의 추징금을 부과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제 보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이하늬가 설립한 기획사 '호프프로젝트'는 공식 입장을 내고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 의무를 충분히 숙지하지 못해 절차를 진행하지 못했다"며 "최근 해당 사실을 확인한 뒤 전문가 자문을 받아 규정에 맞는 절차를 진행 중이며, 계도 기간 내 등록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호프프로젝트는 2015년 10월 설립된 '주식회사 하늬'를 모태로 한다. 이하늬는 2023년 1월까지 대표와 사내이사를 맡았으며, 현재는 남편 피터 장이 대표를 맡고 이하늬가 사내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앞서 호프프로젝트는 지난해 9월 서울지방국세청 세무조사에서 소득세 등 60억 원에 달하는 세금 추징을 통보받았다. 회사 측은 해당 수익을 법인 수익으로 신고해 세금을 납부했으나, 세무당국이 이를 개인소득세 납부 대상으로 해석하면서 '이중 과세'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하늬는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 '애마' 홍보 인터뷰에서 세금 추징과 관련한 탈세 의혹에 대해 "4년째 세무조사를 받고 있으며 억울한 부분도 있지만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소스통 짊어지고 해외로"...백종원 근황 포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김다예♥' 박수홍, 이혼 선언에 '충격'…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블랙록, 韓 AI 수도 만들기 MOU 체결(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중복상장·복잡한 지배구조…에식스솔루션즈 연내 상장심사 '빨간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화이자, 멧세라 인수에 디앤디파마텍 상한가, 美 타임이 픽한 뉴로핏도 초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