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조국 "퇴근 후 업무 연락받지 않을 권리, 법제화 추진할 것"
-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디지털 시대의 인권"

조 비대위원장은 3일 자신의 SNS(소셜미디어)에 "이번 추석을 황금연휴라고 부른다"며 "그런데 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휴일이나 퇴근 후에도 업무 연락을 받는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추석은 달랐으면 한다"며 "특히 직장을 다닌 지 얼마 안 된 청년들이 상사의 전화 한 통, 회사의 카톡 메시지 하나에 스트레스와 연결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노동자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사회권이자 디지털 시대의 인권"이라고 밝혔따. 그러면서 조 비대위원장은 "정부의 디지털 권리장전에는 '모든 사람은 다양한 노동 환경에서 안전·건강하게 근로하고 디지털 연결에서 벗어나 휴식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며 "저와 조국혁신당은 이 당연한 권리 보장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이 권리는 직장인이 퇴근 후 전자통신 수단을 통한 업무 지시에 응답하지 않아도 되는 권리"라며 "나아가 노동 시간이 끝나면 전자기기를 꺼도 되고 연락에 응답하지 않아도 불이익을 받지 않을 권리다. 물론 재난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는 예외이며 공직자나 기업임원진은 적용대상이 아니다"라고 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몇 차례 '업무시간 외 카톡 금지법'이라는 이름으로 국회에서 법안이 발의됐으나 무산됐다"며 "단, 한국서부발전, 국토안전관리원 등 몇몇 기업과 기관에서 자발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실현하고 있다. 부산 동래구와 서울 관악구는 이 권리를 보장하는 조례를 만들었다"고 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노동자의 일상이 보장돼야 노동생산성이 높아질 거라고 주장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우리 사회도 이제 '연결되지 않을 권리' 보장을 본격화할 때가 됐다"며 "이 권리가 보장되면 노동자의 일상과 휴식이 온전히 보장돼 노동생산성이 높아진다.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는데 기여한다. 사회 전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투자"라고 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마지막으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근로시간 단축도 언급했다. 그는 "머지않은 미래에 주 4일제 또는 4.5일제와 함께 추진된다면 직장인들의 삶과 우리 경제의 질이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며 "퇴근은 진짜 퇴근이어야 하고 연휴는 진짜 연휴여야 한다. 모든 직장인들이 자신과 가족을 위한 진짜 명절을 누리시길 바란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500만 원 도난 피해’ 전혜빈, 오히려 사과…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최홍만, 화장실 한 번 다녀보면 1kg 감량..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국가전산망 장애 담당 공무원, 세종청사서 투신해 사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국민연금 수익률 더 오른다"…새 역사 쓴 코스피 덕에 '활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암초 만난 인체조직 스킨부스터...김근영 한스바이오메드 대표 “사업 영향 제한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