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중국 항공사, '이것' 조심하세요... 보조배터리 규정 국가마다 천차만별

최근 해외여행객들 사이에서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으로 인한 혼란이 커지고 있다. 일부 국가와 항공사가 자국만의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음에도 명확한 안내가 부족해, 공항에서 보조배터리를 압수당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3월, 중국 항저우발 홍콩행 홍콩항공 여객기에서 기내 보조배터리에서 불이 나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중국은 보조배터리 규정을 대폭 강화했다. 현재 중국 국내선을 이용할 경우,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중국 정부의 인증(3C 표시)을 받은 제품만 반입이 가능하다. 해당 기준을 몰랐던 외국인 승객들이 보조배터리를 빼앗기는 사례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한 중국 항공사 관계자는 "중국 국내선으로 환승하는 승객이 많은 만큼 관련 규정을 미리 안내하고 있지만, 여전히 혼란이 많다"고 전했다.
실제로 많은 승객들이 사전에 규정을 검색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처와 기준이 불분명한 정보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다.
국가별·항공사별 세부 규정도 천차만별이다. 싱가포르항공과 타이항공은 보조배터리를 기내 선반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다수 항공사는 반드시 휴대 소지해야 하며, 기내 충전 행위 자체를 금지하는 곳도 많다.
해외 대부분 항공사는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충전하는 행위 역시 제한하고 있어, 사용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각 항공사와 국가마다 세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안심해선 안 된다"며, "탑승 전 해당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VC’s Pick]기업가치 1.9조…AI 반도체 리벨리온 투자 유치
성공 투자의 동반자일간스포츠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와' 한국, 파나마 꺾고 U-20 월드컵 16강 가능성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서학개미 충격…팔란티어, 美육군 ‘보안 위험’에 주가 7.5%↓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선순환 사례 등장"…자국에 5.6조 투자 약속한 英 스타트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암초 만난 인체조직 스킨부스터...김근영 한스바이오메드 대표 “사업 영향 제한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