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불황의 위로는 '한 잔의 국산 주류'…와인 대신 가성비 술
- 소주 판매량 1위, 와인 비중 감소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주류 시장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국산 맥주와 소주가 꾸준히 팔리며 '불황의 승자'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한때 '홈술' 붐을 이끌었던 와인 열풍은 눈에 띄게 꺾였다. 최근에는 가볍게 주류를 즐길 수 있는 화이트와인·스파클링, 무알코올 맥주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7일 대형마트 3사에 따르면 올해(1~9월) 주류 매출에서 ‘국산 맥주’ 비중이 24~27.6%로 1위를 기록했다. 수량 기준으로는 소주가 가장 많이 팔렸다. 이마트의 주류 매출 비중은 국산 맥주(24%)가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와인(22%) ▲양주(19%) ▲소주(17%) ▲수입 맥주(12%) ▲전통주(5%) ▲무알코올 맥주(1%)가 이었다.
국내 주류 시장에서 국산 맥주가 매출 1위를 차지한 것은 오랜만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홈술·혼술'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와인이 주류 소비의 중심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이마트와 롯데마트 모두에서 와인이 주류 매출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경기침체와 고물가가 이어지자 소비자들의 선택은 다시 '가성비' 주류로 옮겨갔다.
한편 최근에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가 퍼지며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화이트와인·스파클링, 무알코올 맥주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이마트에 따르면 2022년 와인 매출 중 레드와인 비중은 68%였지만 올해(1~9월)는 62%로 줄었고, 화이트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은 38%로 늘었다. 같은 기간 무알코올 맥주 매출은 전년 대비 25%가량 증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귀경길 눈치게임’ 승자는?...부산·대구 정체 소폭 감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추신수, 충격 발언 "♥하원미와 살기 어려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귀경길 눈치게임’ 승자는?...부산·대구 정체 소폭 감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스퀘어, 콜옵션 행사 막판 조율…‘포기’에 무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밸류업 외치던 노을, 2년 만에 또 주주배정 유증 강행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