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AI 종말’에 대비하는 억만장자들…저커버그·수츠케버, 지하 벙커 건설
- 하와이·실리콘밸리 등 자급자족형 대피소 건설
“AI가 인간 초월할 때 통제권은 기계로”

BBC는 9일(현지 시각) “AI의 최전선에 선 억만장자들이 인류 종말에 대비해 지하에 새로운 세계를 짓고 있다”고 전했다.
저커버그는 지난 2014년부터 하와이 카우아이섬에 1400에이커(약 560만㎡) 규모의 ‘쿨라우 랜치(Koolau Ranch)’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자체 전력 생산과 식량 공급 시스템을 갖춘 자급자족형 대피소로 알려졌으며, 공사에 참여하는 인력은 모두 비밀 유지 계약(NDA)을 체결한 상태다.
그는 또 캘리포니아 팔로알토 크레센트 파크 인근 부지 11곳을 사들여 7000제곱피트(약 650㎡) 규모의 지하 공간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I 업계 인사들도 예외가 아니다. 링크트인 공동 창립자 레이드 호프먼은 이미 ‘종말 보험(Doombunker Insurance)’에 가입하고 별도의 지하 공간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의 공동 창립자이자 수석 과학자인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 역시 “AI가 인간 지능에 도달하거나 초월하는 시점(AGI·ASI)이 머지않았다”며 지하 대피소 건설을 직접 지시했다. 그는 “강력한 기술이 세상에 완전히 공개되기 전, 핵심 연구진을 보호할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AI가 인간 지능을 넘어서는 ‘인공 초지능(ASI)’ 단계로 진입할 경우,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는 “AI가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면 통제권은 자연스럽게 기계로 넘어갈 것”이라며 “이건 가능성의 문제가 아니라 시기의 문제”라고 단언했다.
반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초지능 AI는 인류에게 ‘보편적 고소득’ 시대를 열 것”이라며 의료·에너지·교통 등 전 산업에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낙관했다. “모두가 자신의 R2-D2를 가지는 세상이 될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AI를 공포보다 기회로 보는 또 다른 시각을 대변한다.
BBC는 “AI 발전의 최전선에 있는 과학자들이 동시에 AI를 가장 두려워하고 있다”며, 기술 진보와 인간 불안이 공존하는 실리콘밸리의 역설적 풍경을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노경은 2⅓이닝 쾌투→조병현 BS→김성욱 후라도 상대 끝내기포...SSG, 드라마 같은 승리 [준PO2]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민우, 예비신부 6세 딸 “가족 인정 안돼” 충격...합가 후 첫 위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희토류 통제에 뿔난 트럼프 “추가 100% 관세…핵심 SW수출통제도”(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정부 '40兆 벤처투자' 본격 시동…국민연금 출자, '제3 벤처붐' 이끄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5000명 희귀약에서 360만명 블록버스터로…에스티팜, 최대 수혜주 부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