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20대, 70대에 사상 첫 추월당해… ‘청년 붕괴’ 현실화됐다

12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630만 2천 명으로, 전년보다 19만 3천 명 감소했다. 감소 폭은 10세 미만(-19만 2천 명)과 40대(-16만 9천 명)를 웃돌며 전 연령대 중 가장 컸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4년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해마다 14만∼21만 명 안팎의 감소 폭을 유지하며 급속한 인구 축소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 20대 인구는 지난해 70대 이상(654만 3천 명)에 추월당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25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연령별로는 50대(871만 3천 명)가 가장 많았고, 40대(780만 9천 명), 60대(779만 1천 명)가 뒤를 이었다. 불과 30여 년 전만 해도 20대가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인구가 많았던 점을 고려하면 인구 구조가 급격히 뒤바뀐 셈이다.
인구 감소와 함께 20대의 노동시장 입지도 좁아지고 있다. 지난 8월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1.2% 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8월 이후 12개월 연속 하락하거나 보합세를 보이며 반등하지 못했다. 같은 달 실업률은 5.0%로 1년 새 1.0% 포인트 상승, 2022년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확산도 20대 취업난을 부추기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의 지난해 대졸 신입사원 중 28.1%가 경력직이었다. 1년 전(25.8%)보다 2.3% 포인트 증가했다. 대기업의 수시채용 확대가 사회 초년생의 진입 기회를 줄이는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미국 관세정책 여파로 인한 제조업 부진과 건설 경기 침체까지 겹치며 양질의 일자리가 줄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20대 인구 감소와 고용난이 한국 경제의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0대 인구 감소와 고용 애로는 한국 경제의 활력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중장기적으로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민우, 결혼 앞두고 충격 고백… “친양자 입양할 것”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故조민기 아내’ 김선진, 7년 만 방송 출연…“옛 생각 나”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KF-21 뜨는데 '주유소'가 없다?…공중급유기 사업 좌초 위기[김관용의 軍界一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정부 '40兆 벤처투자' 본격 시동…국민연금 출자, '제3 벤처붐' 이끄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이병철 카나프테라퓨틱스 대표 “파이프라인마다 파트너...성공확률 UP”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