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노년층이 ‘큰손’ 됐다… 소비 증가율 젊은층의 두 배

12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노년층의 소비 총액은 243조 8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12.0%(26조 1천억 원) 늘었다.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다.
전체 소비에서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16.7%로, 역대 가장 높았다. 반면 경제활동의 주축인 15∼64세 ‘노동연령층’의 소비 증가율은 6.3%에 그쳤고, 0∼14세 ‘유년층’은 4.3% 증가에 머물렀다.
노년층 소비의 60% 이상(150조 원)은 개인 지출인 민간소비로, 전년 대비 14.9% 늘었다. 복지나 의료 등 공공소비가 아닌, 본인이 직접 지갑을 연 결과다. 특히 병원비보다 여가·문화·외식 등 ‘삶의 질’을 위한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단순히 베이비부머의 노년 진입으로 인한 인구 증가 효과만은 아니다”며 “1인당 소비액 기준으로도 노년층이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했다”라고 설명했다.
눈에 띄는 점은 노년층의 소비가 노동소득(64조 6천억 원)을 훨씬 웃돈다는 것이다. 생애 주기상 ‘적자’ 179조 2천억 원은 연금, 복지, 가족 지원, 그리고 자산을 활용한 소비로 메워졌다.
특히 자산을 처분하거나 저축을 줄여 소비에 쓰는 ‘민간 자산재배분’ 규모가 49조 3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노년층이 보유 자산을 소비 재원으로 적극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노년층 내부의 격차도 뚜렷하다. 전체 노년층 소비의 59.3%, 민간 자산재배분의 68.5%가 65∼74세 ‘젊은 노년층’에 집중됐다. 자산 수준과 경제활동 여력의 차이가 소비력 격차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中관세 위협에…가상자산 182.8억달러 증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노브레인 이성우, 오늘(12일) ♥영어강사와 결혼…“나이 50에 신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KF-21 뜨는데 '주유소'가 없다?…공중급유기 사업 좌초 위기[김관용의 軍界一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정부 '40兆 벤처투자' 본격 시동…국민연금 출자, '제3 벤처붐' 이끄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이병철 카나프테라퓨틱스 대표 “파이프라인마다 파트너...성공확률 UP”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