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기관의 스타트업 해외 진출 지원…부모 손 잡는 ’하향식 지원’ 지양해야 [최화준의 스타트업 인사이트]
- 이스라엘, 에스토니아처럼… 창업자가 주도하는 '상향식' 생태계가 해법
기관 역할은 '베이스캠프'까지…스타트업 자생적 성장 도와야
[최화준 아주대 경영대학원 벤처/창업 겸임 교원] “다 큰 성인이 부모 손을 붙잡고 해외로 여행을 간다면 얼마나 웃긴 일인가.”
얼마 전 한국을 방문한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전문가는 국내 스타트업이 기관 지원에 의존해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을 그렇게 비유했다. 그는 이런 해외 진출 방식은 한국 스타트업이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글로벌 시장에 심어줄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특히 한번 시장에 각인된 부정적 인상을 바꾸려면 한국은 미래에 더 많은 기회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스타트업 글로벌 교류는 상향식으로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를 경험한 해외 전문가들은 고질적 문제로 다단계 지원 구조를 꼽는다. 현 구조에서는 공적 영역과 같은 최상위 집단이 해외 진출 국가를 정하고 이에 맞추어 하위 관계 및 관련 조직들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일련의 행동들은 하향식(top-down)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긴 시간과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변화하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점이다. 스타트업 생태계는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한다. 현재 스타트업 생태계에 자리 잡은 하향식 다단계 지원 구조는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에 알맞지 않다.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 전문가들은 대기업을 위한 생태계 구축 방식을 왜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도 적용하고 있는지 하나같이 의문을 보였다. 내부 체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국내 스타트업 지원 구조는 제조 대기업이 전유하고 있는 가치 사슬과 유사하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지원 구조와 대기업의 가치 사슬 구조 모두 상하청 갑을 관계로 얽혀 있다.
그들은 현재 다단계 형태의 가치 사슬에 여러 스타트업 지원 조직들이 생존하고 있는 부분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런 흐름이 고착화되면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해외 진출은 유의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조언했다.
해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창업자와 스타트업이 주도하는 상향식(bottom-up) 해외 진출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 기관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지원 부서일 뿐, 그들이 모든 것을 직접 운영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해외 스타트업 생태계는 상향식 지원을 통해 글로벌 교류의 성공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스라엘 스타트업은 더 높은 기업 가치와 더 많은 투자금 회수 기회를 찾아 자발적으로 미국으로 회사를 옮긴다. 유럽의 창업 선도국 에스토니아는 전자시민권(e-Residency)을 발급해서 디지털 노마드를 실현하려는 전 세계 창업자를 자국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글로벌 금용 허브 싱가포르는 낮은 세금과 높은 글로벌 개방성을 앞세워 아시아와 유럽의 벤처 캐피털(VC) 기업과 창업자를 성공리에 유치했다. 이러한 해외 성공 사례들은 지원 기관에서는 제도적 유인책만을 제공하고, 스타트업 생태계 운영에는 관여하지 않은 덕분에 나온 결과이다.
글로벌 교류를 추구하는 스타트업 행사 역시 창업자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 글로벌 스타트업 행사 슬러쉬(Slush)는 핀란드 대학 창업 동아리의 소규모 모임에서 시작되었다. 스페인어권 최대 스타트업 행사 사우스서밋(South Summit)은 스페인 마드리드 출신의 한 여성 창업자에 의해 출범되었다. 인기를 얻고 규모가 글로벌로 커지면서 이제는 공공 영역의 지원과 도움을 받고 있지만, 출발은 모두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아이디어였다.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은 탐험가처럼
일반 기업 생태계와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하는 방식은 다르다. 해외 진출 전략 역시 마찬가지이다. 기업은 수요가 충분한 해외 시장을 선정하고 그곳에 거점을 마련한다. 이는 목표를 정해서 행동하는 사냥꾼과 같다.
반면 스타트업은 탐험가와 같다. 해외 진출의 목적은 진출 국가의 시장 잠재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현지 시장 반응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스타트업은 재빠르게 다른 국가로 눈길을 돌린다. 기회와 가능성을 포착해야 비로소 베이스캠프를 차리고 정복을 시작한다. 이처럼 해외 진출을 도모하는 스타트업은 즉시 접근 가능한 자원을 찾아 새로운 곳을 찾아 헤매는 탐험가와 같다.
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스타트업 해외 진출 지원 기관의 역할은 베이스캠프 정도까지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글로벌 무대에서 성공을 거둔 대다수 한국 스타트업들은 해외 시장에 근거지를 차리고 자력으로 성장했다. 예를 들면 헬스케어 스타트업 눔, 채팅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센드버드, AI 애드테크 플랫폼 몰로코 등이 그 주인공이다. 모두 해외 시장에서 자생력을 보여주면서 유니콘으로 성장한 한국계 해외 스타트업이다.
스타트업에게 해외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채널을 확대하는 것은 분명 바람직한 일이다. 지원 사격은 그 정도까지가 적절하다. 굳이 그들의 손을 붙잡고 나라 밖으로 나아가 함께 사냥까지 할 필요는 없다. 붙잡은 손을 놓아도 스타트업들은 스스로 알아서 탐험을 시작할 것이다. 누군가는 탐험을 단기간에 마치고 빈손으로 돌아올 것이고, 다른 누군가는 긴 탐험 끝에 양손 가득 무엇인가를 들고 올 것이다. 무엇을 가져올지도 결국은 그들이 정할 일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제넥신, 생사 좌우할 1168억원 규모 국제소송 내년 3월 결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번 만큼은…" 우승 목마른 김경문,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4000피’ 고지가 코앞이다…APEC·FOMC에 쏠리는 눈[주간증시전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VC 한파 속 산업자본이 움직인다"…포스코, 철강 넘어 기술에 베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1등 K-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 최강 유한양행의 비결②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