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60세 이상 비정규직 300만 시대…‘죽기 전까지 일하는 사회’ 현실로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300만 명을 넘어서며, 고령층이 노동시장의 핵심 집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천 명으로 전년보다 11만 명 증가했다.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정규직은 1,384만5천 명으로 늘었지만, 전체 임금근로자(2,241만3천 명)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2%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가장 주목할 점은 고령층의 급증이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304만4천 명으로 전년보다 23만3천 명 늘며 사상 처음 300만 명을 돌파했다. 전체 비정규직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3분의 1을 넘었다. 세분화하면 70세 이상 비정규직이 120만5천 명으로 40대(120만4천 명)와 비슷한 규모다. 반면 40대(-10만6천 명), 20대 이하(-5만8천 명), 50대(-2만5천 명)는 감소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업(+21만 명), 운수창고업(+3만9천 명)은 증가한 반면, 숙박·음식업(-5만8천 명), 건설업(-5만1천 명), 도소매업(-4만1천 명)은 감소했다. 내수 부진과 경기 둔화로 민간 서비스업의 고용 여건이 악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여성이 전체 비정규직의 57.4%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성과 고령층이 비정규직 일자리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는 셈이다.
임금 격차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벌어졌다.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208만8천 원, 정규직은 389만6천 원으로, 그 차이는 180만8천 원에 달했다. 비정규직 임금이 정규직의 53.6% 수준으로, 1년 새 0.4%포인트 더 낮아졌다.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하면 비정규직 평균 임금은 303만7천 원으로 처음 300만 원을 넘었지만, 여전히 정규직의 78%에 불과하다.
비정규직 중 자발적으로 현재 근로형태를 선택한 이들은 67.8%였으나, ‘근로조건에 만족한다’(57.9%), ‘안정적인 일자리’(22.8%)라는 응답에는 생계형 이유가 상당 부분 포함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 11개월, 주당 근로시간은 28.2시간으로 전년보다 각각 소폭 늘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암은 줄어도 씨앗은 남는다"…파이메드바이오, 암재발 해법 찾고 FDA 임상 1상 돌입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김경문 "PO 5차전 마무리 투수는 김서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머스크 "삼성과 AI5칩 생산 협력"…TSMC 의존도 낮춘다(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 돕는 조력자…VC가 '상주 기업가' 두는 이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큐리언트가 기술수출한 ‘텔라세벡’, 부룰리궤양 임상서 환자 전원 완치 확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