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메타, AI 부문 600명 감원…"조직 슬림화로 초지능 연구 집중"
- '초지능 연구소' 인력 구조조정 단행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3년간 급격한 인력 확충으로 비대해진 조직을 정비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번 구조조정이 AI 사업 축소가 아닌 효율화를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메타는 오픈AI·구글·MS 등과의 경쟁 속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온 만큼, 이번 감원을 통해 의사결정 구조를 단순화하고 초지능(AI Superintelligence)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메타는 최근 몇 년간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재를 영입해 왔다.
지난 6월에는 알렉산더 왕이 공동 창업한 AI 스타트업 '스케일AI'(ScaleAI)에 143억 달러를 투자하고, 이후 왕을 비롯해 핵심 인재들을 데려왔다.
또 오픈AI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연구소의 인재들을 수억 달러에 달하는 보상 조건으로 스카우트하며 AI 역량 강화에 집중해 왔다.
메타의 신임 최고 AI 책임자인 왕을 비롯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초지능' 개발을 목표로 영입된 신규 인력들은 이번 감원에 포함되지 않았다.
왕은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팀 규모를 줄이면 의사결정 과정이 단순해지고, 각 개인의 책임과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대규모 감원은 챗GPT 출시 이후 치열해지고 있는 AI 경쟁 환경 속에서 메타가 겪고 있는 압박을 반영한다.
메타는 오픈AI와 구글, MS가 발 빠르게 차세대 AI 제품을 내놓는 동안 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 등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AI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초기에는 오픈소스 AI 모델 '라마'로 주목받았지만, 이후 18개월 동안 제품 개발이 지연됐고 지난 4월 발표한 '라마4'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대대적인 AI 조직 재정비에 나섰다.
메타 측은 "이번 감원이 AI 사업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초지능 개발은 여전히 저커버그 CEO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창용 "금통위원 6명 중 4명 3개월 내 금리인하 가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김경문 "PO 5차전 마무리 투수는 김서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창용 "금통위원 6명 중 4명 3개월 내 금리인하 가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 돕는 조력자…VC가 '상주 기업가' 두는 이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큐리언트가 기술수출한 ‘텔라세벡’, 부룰리궤양 임상서 환자 전원 완치 확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